메뉴

GOOD NEWS 게시판

검색
메뉴

검색

검색 닫기

검색

오늘의미사 (홍) 2025년 9월 16일 (화)성 고르넬리오 교황과 성 치프리아노 주교 순교자 기념일젊은이야,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어나라.

나눔마당

sub_menu

자유게시판
"성직자"라는말이 이렇게 어렵고난해하고복잡한 말이던가?

117242 유영광 [coffeeman] 2008-02-05

 
뉴스앤조이, Newsnjoy.or.kr 들러보니.
목사가 성직자인가? 하고 논의하는 글이 있습니다.(아래)
보통, 성직자...하면
신부님들(천주교성직자-수녀수사포함), 스님들(불교성직자),목사님들(개신교성직자), 원무님들(원부교성직자)
보통 사용하는데..그리 알고있는데...
저 기자양반 글을 보니...가벼운 말이 아니듯합니다.
 
하기사,
성직자...하는 해당영어 해당외국어는 없는 것으로 저도 알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말에는 이런 경우가 많다하지요. 오랜세월 권력관료중심 세상을 살아와서 그럴겁니다. 21세기에 살면서도 국정최고책임결정권자일 뿐인 행정수반 대통령을 뭐
하늘에서 점지해서 내리는 분이시라나...이런 표현ㅇ도 나오니까요.
"언어인플레(거품,과장)"이가 아주 심한것이지요. 그저 잘못했습니다ㅁ하면 될것도 언제나 소신을 죽여주십시요(목숨이 몇개라고) 하는 것이 그러하고
특히 존칭에서 그렇ㄱ다고 합니다.
그래서 지금은, 아무에게나 그냥 붙이는 말이...***선생님이 되어버렸으니까요.
 
하기사 성직자님! 성직자님! 하고 불러지는 경우는 아직까지는 듣도보고 못했으니까요?
Holy Man? 거룩한 분이(시여)!! 하는 것도 어색하고....
거룩함이라는 개념이 신적인 영역의 것이라 그렇겠지요.
혹시 제가 잘 모르는것을 아시는 분 있으면 알려주십시요.
 
 
영어로는 성직자 분께서....할때, 성직자를 어떻게 쓸까요?
어찌보면 우리 한국어에만 있는 말인지도 모르겠다 싶더라구요.
성직자= 종교조직의 각종 지도자급 사람들?
 
성스럽다? 속되다의 반대말? 
어려운 말이네요. 기자기사에서 중요하게 읽은 부분은 별색처리.
불교에서는 "성속일여(聖俗一如)"를 말합니다.
성과 속을 분별짖고 구분하는 단계는 정신적으로 미숙한 초보기초 입문단계 때의 것이라는 것이지요. 깨닫고보면, 거룩함과 속됨이 거룩한것과 속된것이 따로 없다는 있을수 없다는 말이지요.
 
성직자?
종교직업인? 종교적 ... ...를 직업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을 한국어에서 표현하는 말?
 
이렇게 정의하면 21세기 시대적일까?
말이 참 아무것도 아니것 같아도 진짜 어렵네요.
 
잘못 사용되는 말은
그 말에 해당하는 사람들에게 잘못된 우월의식을 심어줄수 있어서 위험합니다.
바람직하지 읺다 이것입니다. 
목사들에게서 그 전형을 본다 하겠습니다.
 
 
 
성직(聖職)
1  성스러운 직업 a sacred vocation[calling, profession](★ vocation, calling은 천직, profession은 전문직).
¶ 교직은 ~으로 여겨져 왔다 Teaching was regarded as a sacred profession.
2  사제직·목사직 a religious vocation; holy orders; the ministry; the clergy.
¶ ~에 취임하다 take [be admitted to] holy orders; go into [enter, join] the church [ministry]; be obtained (to the priesthood).
◆ ━ 매매 simony.
━ 서임 [안수식] ordination.
━ 자 a churchman ((pl.-men)); a clergyman ((pl.-men)); a cleric; a man of the cloth.
 
 
 
[주장] 목사가 성직자인가
목사직에 대한 지나친 우월의식이 가져온 사태 비판합니다
입력 : 2008년 02월 03일 (일) 23:45:46 [조회수 : 656] 진민용 ( jmy386

종교인 세금 문제가 확산되고 있고, 이제 교회는 스스로 자정능력을 잃어버린 거대 공룡집단이 돼버린 듯한 인상을 줍니다. 그런데 최근 방송사에서 토론을 하러 나왔던 몇 분의 목사들이 여러 주장을 하면서 쓴 '성직자'라는 단어가 제 마음에 걸렸습니다. 스스로 '성직자'로 지칭하는 그들의 논리가 지나치게 비성경적이고 몰상식적이기에 반론을 제기합니다.

1) 목사는 성직자다. 그러므로 세상적인 기준으로 판단하지 말라?

목사는 성직자가 아닙니다. 유독 한국교회가 목사에 대해 성스러운 자격을 부여하는 이유는 어쩌면 하나님의 말씀인 '성서'에 근거한 것이 아닌 자의적 해석에 따른 경우일 것입니다. 흔히 여러분이 교회에 출석하면서 가장 많이 듣는 말이, 목사는 구약의 제사장·선지자·예언자·신약의 사도들의 뒤를 잇는 직분이라는 것일 텐데요. 하지만 성경 어디에도 목사를 '성직'이라고 구분한 경우가 없습니다.

성경에서 '성직'이라고 할 때는 '제사장'에게만 해당합니다. 일반인은 직접 야훼의 얼굴을 대면하지 못했고, 야훼와 인간의 중재자 역할을 하면서 제사를 집도했던 직종이 바로 제사장들이었습니다. 심지어 우리가 잘 아는 아브라함과 모세·여호수아·다윗 등의 인물들조차 제사장 앞에서는 한 인간에 불과했습니다. 그만큼 야훼의 '성직' 구별은 철저했습니다.

자세한 제사장 선출법은 율법서라고 불리는 레위기와 출애굽기에 나오므로 여기서 나열하지는 않겠습니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오늘날에는 '성직'이라는 구별을 할 만한 직책이나 인간은 없다는 것입니다. 심지어 로마 가톨릭의 교황조차도 '성직'은 아닙니다.

그러나 목사들은 스스로 성직자라고 부릅니다. 이는 아마도 '돈을 벌기 위해 일하는 일반 직장인과 달리 모든 생활 자체를 교회일만 하는 사람이기' 때문인 듯합니다. 그렇다면 그것은 교회 전담직원입니다. 그리고 목사뿐 아니라 교회에는 목사보다 더 교회를 위해 일하는 '관리집사'라는 직종도 있습니다. 이들 또한 목사 못지않게 교회 관리며, 청소·예배준비·뒤처리 등등 다른 직업이 없이 매달리는 사람들입니다. 그런 사람에 대해서 '성직자'라고 불러주는 목사를 아직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이밖에도 교회차량 운전기사, 행정사무직원 등도 교회 업무를 전담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렇게 말하면 또 목사들은 말합니다. "목사는 안수를 받으며 말씀을 전하고 예배를 인도한다"고요. 물론 교회에서의 핵심적인 역할은 목사가 하고 있고, 또한 실질적인 교회 대표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거기서 더 나아가지 말아야 합니다.

'역할의 차이'와 '역할의 차별'은 다른 것입니다. 목사는 다른 일반 교인들과의 '역할의 차이'만 있을 뿐 '역할의 차별'을 둘 만큼 다른 교인들이 목사에 비해 결코 '덜 거룩한' 사람들이 아니며, '덜 성직'을 수행하는 것도 아닙니다.

2) 하나님의 직접적인 부르심을 받은 종이다. 소명 받은 종이므로 '성직자'다?

이 부분이야말로 오늘날 한국교회의 목사들에게 있어 가장 큰 자부심이자 자존심입니다. 그들이 교회에서 평신도와는 '레벨'이 다른 이유를 들어 '하나님의 부르심'을 말합니다. 참 어처구니없는 주장입니다.

흔히 신학교에 입학할 때 이런 고백을 하고, 교수 앞에서 면접을 보면서 고백을 합니다. "저는 이러 이러 해서 하나님의 부르심을 입었습니다"라고요. 저는 되묻고 싶습니다. 그 부르심을 직접 음성으로 들었다는 사람도 있고, 마음에 깨달음으로 인도를 받았다는 사람도 있습니다. 심지어는 하는 일마다 실패를 맛봐서 결국 신학교에 오는 사람도 있습니다. 

문제는 거기서부터 출발합니다. "나는 성직자로 불렀고, 너희는 평신도로 살게 했다"는 이분법적인 교만함 때문에 목사가 되면 이상한 우월감에 빠지기 일쑤입니다. 그리고 평신도로 부른 것과 주의 종 즉, 목사로 부른 것이 다르다고 주장합니다.

그렇다면 그 '다르다는 것'이 수준의 차이를 말합니까, 아니면 역할의 차이를 말합니까? 목사로 부르심은 고급스런 부르심이고 집사로 부르심은 저급합니까? 목사로 부른 것은 사명이고, 교회 운전기사로 부른 것은 일반 직업입니까? 또 나아가 세상에서 일하는 과학자·대통령·정치인·환경미화원으로 최선을 다해 일하는 성도들은 그들의 직업이 하나님의 부르심이라고 믿으면 안 될까요?

또한 이들의 주장은 교회 역사를 봐도 근거가 빈약합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개신교의 출발신호탄을 쏘아 올렸던 마틴 루터가 내세운 기치는 '만인의 제사장화'였습니다. 16세기 중세 가톨릭의 사제들이 저질렀던 비성서적인 일들, 특히 성직매매·성모숭배·성인추대·면죄부판매, 그리고 교황과 사제들의 지나친 '성직' 의식으로 '교황은 죄가 없는 사람이다'는 논리의 비약을 비판했고, 종교재판과 마녀사냥 등 비성경적이고 몰상식적인 만행을 저질렀던 교황청과 그 부류들에 반대했습니다. 그래서 구텐베르트성당 정문에 95개 조항의 반박문을 붙이고 시작된 것이 바로 '종교개혁'입니다.

그 이후 개신교는 칼빈과 루터라는 두 인물을 중심으로 각 계파가 나눠졌지만 유일하게 한 목소리를 냈던 것이 바로 '오직 성경으로'였습니다. 칼빈의 5대 교리 중 핵심적인 것이 바로 '오직 성경으로'입니다. 오늘날 천주교에서는 '성모마리아 형상'이나 '성자' 등을 많이 섬기면서 그들의 형상이나 그림·동상 등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그러나 개신교에서는 어떤 사람의 동상도 교회에 세우지 않습니다. 심지어 예수의 그림이나 형상들조차 거부하는 교회들도 많습니다.

이처럼 종교개혁의 교과서가 됐던 '성서'에 '목사'라는 단어는 단 한 차례 등장합니다. "그가 어떤 사람은 사도로, 어떤 사람은 선지자(예언자)로, 어떤 사람은 복음 전하는 자로, 어떤 사람은 목사와 교사로 삼으셨으니."(엡 4:11)

오늘날의 목사와 가장 가까운 직종이 바로 이 대목입니다. 에베소 교회에 보낸 사도 바울의 편지에 등장하는 '목사'라는 단어는 다른 직종들과 나누는 구별을 하고 있습니다. 또 이 구별이란 교회에서의 역할의 차이를 말하는 것이지 역할에 있어서의 차별, 또는 우월적 위치를 주장하는 근거가 되지 않습니다.

즉, 교회에는 목사와 교사, 그리고 집사와 장로, 또는 관리원과 사무원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교회와 성도들을 위해 봉사하는 직책들이 있습니다. 그 중 목사는 다른 직종보다는 다소 무거운 책임을 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즉 설교와 예배집례, 기도회 인도, 교육 또는 양육 등의 교회 일련의 대부분 역할을 목사가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일들은 앞서 말한 대로 '성직' 수행으로서의 일보다는 '직무의 수행'에 가깝습니다. 즉 '목사'가 마치 신과 인간의 중간역할을 수행하는 듯한 뉘앙스를 풍기면서 신성불가침 영역인 듯 행세하도록 성경은 허락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특히 구약의 제사장은 짐승을 죽이는 제사를 집도했지만, 신약의 예수는 바로 그 제물이 돼서 직접 십자가에 죽음으로써 야훼와 인간의 중재자가 됐습니다.

따라서 인간들 중 어느 누구도 그 예수의 역할을 다시 할 필요도 없을 뿐더러, 이제 교인들이 하나님과의 대면을 위해 목사라는 사람의 중재를 받을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더 이상 목사라는 직책은 교인들을 마치 하나님의 곁으로 인도하는 듯한 역할을 하는 사람이 아닌, 단지 교인들이 예수를 믿고 신앙을 고백하는 과정에서 성경을 토대로 하는 가르침과 예배(제사가 아님)의 집례를 하는 사람입니다.

3) 목사가 성직자 노릇하도록 묵인한 것은 한국교회의 결정적인 실수

일단 성경에는 목사를 '성직'이라고 규정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분명합니다. 목사들 스스로 자신들의 정체성과 가치를 높이기 위해 아무리 '제사장'이니, '선지자'니, '대언자'니 외쳐도 이미 그 역할은 예수에게 집중됐고, 그 예수는 그야말로 타락한 구약의 제사장들과는 달리 진실한 대제사장이 돼서 하나님과 사람의 중재자가 됐습니다.

이런 일이 생긴 이유에 대해서는 한국교회의 신학적 부재를 첫째 원인으로 꼽습니다. 신학적으로 정확하게 목사의 위치와 역할에 대해 규정지어주지 못한 채 두루뭉술하게 넘어간 책임이 있습니다. 또한 한국교회의 초창기 신학자들은 대부분 목사들이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지위에 대해 묵과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 또한 지적하고 싶습니다.

또 한 가지는 교회를 일컬어 '성전'이라고 부르지만 결코 성전은 교회가 아닙니다. 교회란 '예수를 주로 고백하는 사람들의 모임'을 말하는 것이지, 건물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성경에서 성전이라고 불리는 건물은 구약에만 등장하며 신약에 와서는 성전은 무너지고 그 터 위에 예수가 믿음으로 살아있는 성전이 됐던 것입니다.

이처럼 '성직'과 '성전'이라고 불리는 목사와 교회, 이들이 그처럼 세상의 비난과 여론의 뭇매에도 당당할 수 있고, 엄청난 돈을 쏟아 부으면서 수백억짜리 교회 건물을 지으려 하는 이유가 바로 '신학적인 무지'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MBC 방송의 '뉴스후'가 지적한 교회들의 납세 문제와 아울러 헌금의 사용처에 대해서도 마치 '성스러운 영역을 세속적인 방송이 건드리지 마라'는 식의 태도를 취하는 일부 대형 교회의 자세는 매우 잘못된 것임을 다시 한번 지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관련기사
· 조갑제의 해괴한 성경 해석으로 논란 · [주장]목사들의 정당창당, 본분 망각한 일
· [주장] 말씀 뽑기, 이제 그만하면 안될까요? · [주장] 한국교회는 누구의 친구인가
· [주장] 왜 한국교회가 귀족화됐는지 모르십니까 · [주장] '독선'보다 '우유부단' 선택한 인수위
 
최종편집 : 2008년 02월 04일 (월) 15:00:10  
진민용의 다른기사 보기  
 
 
 
본시, 한국 천주교회만 천주교회에서만 만들어서 쓰고 있는 말이 확실하군요.
이걸 목사들이 빌려가서 자신들도 성직자 하고 쓴거군요. 근사하니까.
그걸 알게되었군요. 성직자?
 
거룩한 직의 사람이 라는 뜻보다는
성사집행직업을 하는 사람이란 뜻이 정확했을 것이란 생각이 드는군요,
처음부터 "성사직인"(성사를 집행하는 사람)했더라면 훨씬 좋아겠구나...느껴지네요.  
 
 
그런데,
박광용님?
 
잡스러운 걸 물고 오다니요?
제가 똥강아지 입니까? 그렇게 보이십니까?
제가 왜 박광용님하고 똑같이 판단하고 보고 생각해야하지요?
 
 
아래는 박광용님이 주신 자료.
잡스러운 걸 물고온다ㄴ기에...
물고온다? 개처럼? 똥개처럼?
재의수요일 기념으로 연민의 마음으로 제가 똥개다 하고 되어드리지요.
 
이러한 모욕을 당해도
(형사적으로 따지면 모욕죄에 해당하는 범죄행위 입니다) 
전 ....신고같은 건 하지 않겠습니다. 
예비자답게 운운하지 마시고...신자분이 신자다웠으면 좋겠습니다.
 
이 길에...한국가톨릭사전이 얼마나 허술엉망인지...비교ㅎ해보면 좋을 거 같아서....
영어..된 거 찾아보고 붙힙니다.
거기에도...성직자...가 그렇게 정의되나...
성직자? 라는 항목조차 없더이다.
이런건 왜 이렇게 된 것일까요?
 
 
 
 
 
성직자 (聖職者)
관련용어 : 성품 성사

성직(聖職)이란 그리스도와 교회에 의하여 규명된 규범에 따라 하느님께 봉사하는 직무를 말한다. 이는 교황이나 재치권자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은 자가 수행하는 직무이다. 그러나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바탕을 두고 그 가르침을 구체화시킨 교회 교도권의 지도하에 수행된 직무이어야 한다.

성직자란 하느님 백성을 위하여 성사적인 봉사를 통해 하느님의 신비를 나누어 주도록 부름받은 자로, 성품 성사를 받은 주님의 일꾼, 즉 사도들의 사명을 이어받은 주교와 그의 협력자인 사제와 부제를 말한다.

성직자는 교구나 수도회의 소속을 가져야 한다. 이를 입적(入籍)이라 하는데 부제품을 받음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일단 유효하게 받은 성품은 결코 무효화되지 않는다.
          성직자 [한] 聖職者 [라] clericus [영] Clergy  
  
   제발... 잡스러운 글들... 좀 그만 물어오시고
 
    진실된 예비 신자 답게...
   (가톨릭)교회용어사전이나 가톨릭대사전...이라든지, 이곳의 '가톨릭정보'...라든지들을
   조금이라도 들여다 보시기를...
 
   보편교회에서의 성직자란
   부제품 이상의 성품성사를 받으신 분들을 말합니다.
 
   수도자님들 중에서 성품성사를 받지 않으신 분들은... 성직자라고 불리지 않습니다.
 
 
 
 
 
 
아래는
제가 퍼온거...니
참고하십시요. 성직자....이런 항목은
권위있는 가톨릭뭐에도 안 나온다는 사실을 잘 보십시요.
한국가톨릭사전에만 항목으로 되어있다는 사실을 잘 보십시요. 
즉, 어떤 신부님이....성직자 라는 말에는 참 문제많다는 주장은 일리있는 주장이엿다하겠습니다. 성사집행자라...고하자 했다던가요? 아다르고 어다르지요...
목사들이...가져가서 이용하는거 보면 보이지요.

Holy Orders

Order is the appropriate disposition of things equal and unequal, by giving each its proper place (St. Aug., "De civ. Dei," XIX, xiii). Order primarily means a relation. It is used to designate that on which the relation is founded and thus generally means rank (St. Thom., "Suppl.", Q. xxxiv, a.2, ad 4um). In this sense it was applied to clergy and laity (St. Jer., "In Isaiam", XIX, 18; St. Greg. the Great, "Moral.", XXXII, xx). The meaning was restricted later to the hierarchy as a whole or to the various ranks of the clergy. Tertullian and some early writers had already used the word in that sense, but generally with a qualifying adjective (Tertullian, "De exhort. cast.", vii, ordo sacerdotalis, ordo ecclesiasticus; St. Greg. of Tours, "Vit. patr.", X, i, ordo clericorum). Order is used to signify not only the particular rank or general status of the clergy, but also the outward action by which they are raised to that status, and thus stands for ordination. It also indicates what differentiates laity from clergy or the various ranks of the clergy, and thus means spiritual power. The Sacrament of Order is the sacrament by which grace and spiritual power for the discharge of ecclesiastical offices are conferred.

 

 

Priest

This word (etymologically "elder", from presbyteros, presbyter) has taken the meaning of "sacerdos", from which no substantive has been formed in various modern languages (English, French, German). The priest is the minister of Divine worship, and especially of the highest act of worship, sacrifice. In this sense, every religion has its priests, exercising more or less exalted sacerdotal functions as intermediaries between man and the Divinity (cf. Heb., v, 1: "for every high priest taken from among men, is ordained for men in the things that appertain to God, that he may offer up gifts and sacrifices for sins"). In various ages and countries we find numerous and important differences: the priest properly so called may be assisted by inferior ministers of many kinds; he may belong to a special class or caste, to a clergy, or else may be like other citizens except in what concerns his sacerdotal functions; he may be a member of a hierarchy, or, on the contrary, may exercise an independent priesthood (e.g. Melchisedech, Hebrews 7:1-33); lastly, the methods of recruiting the ministers of worship, the rites by which they receive their powers, the authority that establishes them, may all differ. But, amid all these accidental differences, one fundamental idea is common to all religions: the priest is the person authoritatively appointed to do homage to God in the name of society, even the primitive society of the family (cf. Job 1:5), and to offer Him sacrifice (in the broad, but especially in the strict sense of the word). Omitting further discussion of the general idea of the priesthood, and neglecting all reference to pagan worship, we may call attention to the organization among the people of God of a Divine service with ministers properly so-called: the priests, the inferior clergy, the Levites, and at their head the high-priest. We know the detailed regulations contained in Leviticus as to the different sacrifices offered to God in the Temple at Jerusalem, and the character and duty of the priests and Levites. Their ranks were recruited, in virtue not of the free choice of individuals, but of descent in the tribe of Levi (especially the family of Aaron), which had been called by God to His ritual service to the exclusion of all others. The elders (presbyteroi) formed a kind of council, but had no sacerdotal power; it was they who took counsel with the chief priests to capture Jesus (Matthew 26:3). It is this name presbyter (elder) which has passed into the Christian speech to signify the minister of Divine service, the priest.

The Christian law also has necessarily its priesthood to carry out the Divine service, the principal act of which is the Eucharistic Sacrifice, the figure and renewal of that of Calvary. This priesthood has two degrees: the first, total and complete, the second an incomplete participation of the first. The first belongs to the bishop. The bishop is truly a priest (sacerdos), and even a high-priest; he has chief control of the Divine worship (sacrorum antistes), is the president of liturgical meetings; he has the fullness of the priesthood, and administers all the sacraments. The second degree belongs to the priest (presbyter), who is also a sacerdos, but of the second rank ("secundi sacerdotes" Innocent I ad Eugub.); by his priestly ordination he receives the power to offer sacrifice (i.e. to celebrate the Eucharist), to forgive sins, to bless, to preach, to sanctify, and in a word to fulfil the non-reserved liturgical duties or priestly functions. In the exercise of these functions, however, he is subject to the authority of the bishop to whom he has promised canonical obedience; in certain cases even he requires not only authorization, but real jurisdiction, particularly to forgive sins and to take care of souls. Moreover, certain acts of the sacerdotal power, affecting the society of which the bishop is the head, are reserved to the latter -- e.g. confirmation, the final rite of Christian initiation, ordination, by which the ranks of the clergy are recruited, and the solemn consecration of new temples to God. Sacerdotal powers are conferred on priests by priestly ordination, and it is this ordination which puts them in the highest rank of the hierarchy after the bishop.

As the word sacerdos was applicable to both bishops and priests, and one became a presbyter only by sacerdotal ordination, the word presbyter soon lost its primitive meaning of "ancient" and was applied only to the minister of worship and of the sacrifice (hence our priest). Originally, however, the presbyteri were the members of the high council which, under the presidency of the bishop, administered the affairs of the local church. Doubtless in general these members entered the presbyterate only by the imposition of hands which made them priests; however, that there could be, and actually were presbyteri who were not priests, is seen from canons 43-47 of Hippolytus (cf. Duchesne, "Origines du culte chretien", append.), which show that some of those who had confessed the Faith before the tribunals were admitted into the presbyterium without ordination. These exceptions were, however, merely isolated instances, and from time immemorial ordination has been the sole manner of recruiting the presbyteral order. The documents of antiquity show us the priests as the permanent council, the auxiliaries of the bishop, whom they surround and aid in the solemn functions of Divine Worship. When the bishop is absent, he is replaced by a priest, who presides in his name over the liturgical assembly. The priests replace him especially in the different parts of the diocese, where they are stationed by him; here they provide for the Divine Service, as the bishop does in the episcopal city, except that certain functions are reserved to the latter, and the others are performed with less liturgical solemnity. As the churches multiplied in the country and towns, the priests served them with a permanent title, becoming rectors or titulars. Thus, the bond uniting such priests to the cathedral church gradually became weaker, whereas it grew stronger in the case of those who served in the cathedral with the bishop (i.e. the canons); at the same time the lower clergy tended to decrease in number, inasmuch as the clerics passed through the inferior orders only to arrive at the sacerdotal ordination, which was indispensable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churches and the exercise of a useful ministry among the faithful. Hence ordinarily the priest was not isolated, but was regularly attached to a definite church or connected with a cathedral. Accordingly, the Council of Trent (Sess. XXIII, cap. xvi, renewing canon vi of Chalcedon) desires bishops not to ordain any clerics but those necessary or useful to the church or ecclesiastical establishment to which they are to be attached and which they are to serve.

The nature of this service depends especially on the nature of the benefice, office, or function assigned to the priest; the Council in particular desires (cap. xiv) priests to celebrate Mass at least on Sundays and holydays, while those who are charged with the care of souls are to celebrate as often as their office demands.

Consequently, it is not easy to say in a way applicable to all cases what are the duties and rights of a priest; both vary considerably in individual cases. By his ordination a priest is invested with powers rather than with rights, the exercise of these powers (to celebrate Mass, remit sins, preach, administer the sacraments, direct and minister to the Christian people) being regulated by the common laws of the church, the jurisdiction of the bishop, and the office or charge of each priest. The exercise of the sacerdotal powers is both a duty and a right for priests having the care of souls, either in their own name (e.g. parish priests) or as auxiliaries (e.g. parochial curates). Except in the matter of the care of souls the sacerdotal functions are likewise obligatory in the case of priests having any benefice or office in a church (e.g. canons); otherwise they are optional, and their exercise depends upon the favour of the bishop (e.g. the permission to hear confessions or to preach granted to simple priests or to priests from outside the diocese). As for the case of a priest who is entirely free, moralists limit his obligations, as far as the exercise of his sacerdotal powers is concerned, to the celebration of Mass several times a year (St. Alphonsus Liguori, l. VI, no. 313) and to the administration of the sacraments in case of necessity, in addition to fulfilling certain other obligations not strictly sacerdotal (e.g. the Breviary, celibacy). But canonical writers, not considering such a condition regular, hold that the bishop is obliged in this case to attach such a priest to a church and impose some duty on him, even if it be only an obligatory attendance at solemn functions and processions (Innocent XIII, Constitution "Apostolici ministerii", 23 March, 1723; Benedict XIII, Const. "In supremo", 23 Sept., 1724; Roman Council of 1725, tit. vi, c. ii).

As to the material situation of the priest, his rights are clearly laid down by canon law, which varies considerably with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hurch in different countries. As a matter of principle, each cleric ought to have from his ordination to the sub-diaconate a benefice, the revenues of which ensure him a respectable living and, if he is ordained with a title of patrimony (i.e. the possession of independent means sufficient to provide a decent livelihood), he has the right to receive a benefice as soon as possible. Practically the question seldom arises in the case of priests, for clerics are ordinarily ordained with the title of ecclesiastical service, and they cannot usefully fill a remunerated post unless they are priests. Each priest ordained with the title of ecclesiastical service has therefore the right to ask of his bishop, and the bishop is under an obligation to assign him, a benefice or ecclesiastical office which will ensure him a respectable living; in this office the priest has therefore the right to collect the emoluments attached to his ministry, including the offerings which a legitimate custom allows him to receive or even demand on the occasion of certain definite functions (stipends for Masses, curial rights for burial, etc.). Even when old or infirm, a priest who has not rendered himself unworthy and who is unable to fulfil his ministry remains a charge on his bishop, unless other arrangements have been made. It is thus apparent that the rights and duties of a priest are, in the concrete reality, conditioned by his situation. (See BENEFICE; PASTOR; PARISH PRIEST; PRIESTHOOD.)

Publication information

Written by A. Boudinhon. Transcribed by Robert B. Olson. Offered to Almighty God for Fr. Jeffrey Ingham, Fr. Joseph Mulroney, Fr. Thanh Nguyen, Fr. Richard Rohrer, and Fr. John Williams and all priests ordained into the Priesthood of Our Lord Jesus Christ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ume XII. Published 1911.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Nihil Obstat, June 1, 1911. Remy Lafort, S.T.D., Censor. Imprimatur. +John Cardinal Farley, Archbishop of New York

Bibliography

See bibliography to ORDERS, HOLY, and PRIESTHOOD; consult also PHILLIPS, Droit ecclesiastique (French tr., Paris, 1850), 36; MANY, Proelectiones de sacra ordinatione (Paris, 1905), n. 16; and the collections of ZAMBONI and of PALLOTTINI, s.v. Presbyteri (simplices).

 

 


2 673 2

추천  2 반대  0 신고  

TAG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로그인후 등록 가능합니다.

0 / 500

이미지첨부 등록

더보기
리스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