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6일 (수)
(녹) 연중 제12주간 수요일 너희는 그들이 맺은 열매를 보고 그들을 알아볼 수 있다.

따뜻한이야기 신앙생활과 영성생활에 도움이 되는 좋은 글을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하버드대학교에 합격한 노숙자 소녀의 이야기

인쇄

김현 [kimhh1478] 쪽지 캡슐

2017-05-31 ㅣ No.90050

 

 

 

 

♧ 하버드대학교에 합격한 노숙자 소녀의 이야기 ♧

저의 어머니는 14살 때 차가운 쓰레기 더미 속에서 저를 출산하셨습니다 어머니와 전 뉴욕의 거리를 전전했고 무료급식과 쓰레기를 뒤지며 굶주림을 해소했습니다 대부분 차가운 길바닥과 냄새나는 뒷골목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제 집 주소는 언제나 뉴욕 어느 동네의 식당 뒷 골목이었고 어느덧 제 이름은 '노숙자'가 되어 있었습니다

 

저는 공부가 좋았습니다 가진 것 없는 제가 그나마 남들과 같아지기 위해 한 권의 책을 더 읽고 한 번 더 생각하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그리고 필사적으로 학교를 다녔습니다 12학년을 다니는 동안 자그마치 12곳의 학교를 옮겨 다니며 공부해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포기할 수 없었습니다 한 달에 5권의 책을 읽었고 뉴욕의 모든 신문을 정독했습니다 거리의 길바닥은 저에게 세상에서 가장 넓은 공부방이었습니다 꿈이 생겼습니다 대학에 들어가 나의 운명을 스스로 바꾸는 꿈! 우리 가족이 더 이상 남들의 비웃음 섞인 시선을 받지 않아도 되는 꿈! '노숙자 주제에 대학은 꿈도 꾸지 마라' 사람들은 항상 같은 말을 했습니다 그럴수록 더욱 이를 악물고 공부했습니다 새벽 4시에 일어나 학교에 갔고 밤 11시가 되어서야 돌아왔습니다 노력 끝에 4.0에 가까운 학점을 유지했고 다양한 학교 활동에도 참여했습니다 이런 저에게 복지단체들이 장학금을 지원하며 도와주기 시작했고 사회단체에서 절 지켜봐 주었습니다 저를 믿는 사람들이 생긴 것입니다 인생과 운명을 바꾸기 위해 앞만 보고 달렸습니다. 그리고 결국 브라운과 컬럼비아, 암허스트 등 미 전역의 20여 개 대학으로부터 합격 통지서를 받아냈습니다 노숙자였던 저는 지금 하버드의 4년 장학생입니다 전 제 자신이 똑똑하다는 것에 언제나 자신감을 가졌고 남들이 '노숙자니까 그래도 돼'라고 말하는 것이 너무 싫었습니다 전 가난이 결코 변명거리가 되지 못한다고 생각했어요 제 이름은 '카디자 월리엄스'입니다 더 이상 사람들은 저를 노숙자라고 부르지 않습니다 -‘오늘이 당신의 남은 인생의 첫날이다’중에서 - 그녀는 오직 자신의 노력으로 높게 쌓인 편견의 벽을 허물었습니다 -쓰레기더미에서도 꿈은 자랍니다- - html 제작 김현피터 - 움직이는 아이콘 예쁜라인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 매기의 추억 (When You and I Were Young, Maggie) ♬ 옛날의 금잔디 동산에 매기 같이 앉아서 놀던곳 물레방아 소리 들린다 매기 내 사랑하는 매기야 동산수풀은 없어 지고 장미꽃은 피어 만말 하였다 물레방아 소리 그쳤다 매기 내사랑하는 매기야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2,857 3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