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9일 (토)
(홍)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너는 베드로이다. 나는 너에게 하늘 나라의 열쇠를 주겠다.

묻고답하기 천주교 ㅣ 성경 ㅣ 7성사 통합게시판입니다.

q 토빗 13,16에 사용된 물음표

인쇄

이복선 [lbs] 쪽지 캡슐

2014-01-27 ㅣ No.7582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13,16: 나 얼마나 행복하리오?

의 물음표는 느낌표로 바꾸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 토빗13,16 에서 사용된 물음표는 물음의 의미가 아니라 더 강한 긍정의 의미로,

아래 국립국어원 한글맞춤법  물음표  (2)번에 해당되는 '수사의문'을 나타낼 때 사용된 경우라고 생각합니다.

 

원래 그리스어로 된 성경(Septuaginta) 이나 라틴어 성경에는 물음표도 느낌표도 없습니다.

번역본중 아무 문장부호를 넣치 않은 성경들도 있습니다만,  영어성경(NAB)에서는 느낌표를 넣었고, 우리말성경에서는 느낌을 강조하기 위해 수사의문형의 물음표를 넣은 것 같습니다.  

그러므로 이 문장에서는

느낌표이던, 수사의문형 물음표이던 간에 그 문장부호가 글의 맥락을 바꾸지 않는한, 별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

 

< 국립국어원 한글맞춤법 에서 문장부호 '물음표' 부분 발췌>



2. 물음표 (?) : 의심이나 물음을 나타낸다.



(1) 직접 질문할 때에 쓴다.

이제 가면 언제 돌아오니?
이름이 뭐지?


(2) 반어나 수사 의문(修辭疑問)을 나타낼 때 쓴다.

제가 감히 거역할 리가 있습니까?
이게 은혜에 대한 보답이냐?
남북 통일이 되면 얼마나 좋을까?

 

 

(3) 특정한 어구 또는 그 내용에 대하여 의심이나 빈정거림, 비웃음 등을 표시할 때, 또는 적절한 말을 쓰기 어려운 경우에 소괄호 안에 쓴다.

 

  • 그것 참 훌륭한(?) 태도야.
  • 우리 집 고양이가 가출(?)을 했어요.

 

 

[붙임 1]한 문장에서 몇 개의 선택적인 물음이 겹쳤을 때에는 맨 끝의 물음에만 쓰지만, 각각 독립된 물음인 경우에는 물음마다 쓴다.

 

  • 너는 한국인이냐, 중국인이냐?
  • 너는 언제 왔니? 어디서 왔니? 무엇하러?

 

 

[붙임 2]의문형 어미로 끝나는 문장이라도 의문의 정도가 약할 때에는 물음표 대신 온점(또는 고리점)을 쓸 수도 있다.

 

  • 이 일을 도대체 어쩐단 말이냐.
  • 아무도 그 일에 찬성하지 않을 거야. 혹 미친 사람이라면 모를까.

 

 

 

---
 

*수사 의문문 [修辭疑問文]  :
문장의 형식은 의문문이나, 대답을 요구하지 않고 강한 긍정 또는 강한 부정의 수사적 효과를 가지는 의문문

 

 

<다음 검색창에서 수사의문문 발췌>

 

 



849 2댓글보기

신고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