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일 (일)
(백)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이는 내 몸이다. 이는 내 피다.

인물 현대사 - 부자(富者)의 길 - 유일한

스크랩 인쇄

이강길 [u90120] 쪽지 캡슐

2005-03-28 ㅣ No.63

 

'성공한 기업이 국민과 국가를 살찌운다.'



기업의 부실이 국가 전체의 부실과 위기로 이어졌던 일들을 우리는
IMF를 통해 뼈아프게 경험했다.

그런 의미에서 한 사회에서 기업과 기업가의 역할과 책임은 참으로
크다.



1971년 4월 8일,

유한양행의 창업자 유일한이 세상을 떠난지 보름후,

가족들이 모두 모인 자리에서 그의 유언장이 세상에 공개됐다.

그는 유언장을 통해 평생을 바쳐 일군 전 재산을 사회에 내 놓았다.

자신의 아들과 아내에게는 한 푼의 유산도 남기지 않았다.

당시 언론은 그의 유언장 내용을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그는 비록 빈 손으로 떠났지만 후대에 값진 유산을 남긴 진정한
부자였다.

참기업인, 정도경영의 실천자로 존경받는 유한양행의 창업자
유일한.

그는 기업이윤의 사회환원을 실천한 기업가로 첫 손에 꼽히는
사람이다.

그는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 실릴 정도로 모범적인 삶을 살았고,
정도경영을 실천했다.



정경유착에 의한 차입경영, 특혜경영을 거부하고 자기자본에 의한
정직경영을 실천했으며, 1인경영을 거부하고 종업원지주제를 실시하여
기업이윤을 종업원들에게 환원했다.

그리고 족벌경영, 2세경영을 거부하고 소유와 경영을 철저히 분리 ,
전문경영인에게 기업을 승계했으며, 마지막으로는 자신의 전 재산을
사회에 환원했다.



'기업의 소유주는 국가와 국민'이며 '따라서 기업은 사회전체의
이익증진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라는 것이 그의 기업경영
신념이었고,

그 신념을 바탕으로 기본과 원칙을 철저히 지키며, 가장 정직한
방법으로 돈을 벌었다.

기업가 유일한의 일생은 우리 사회 가진 자들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
가를 보여준 하나의 상징과도 같은 것이었다.



온갖 특혜와 부정 속에 성장해 온 재벌들과 달리 오로지 '정직'과
'성실'만으로 기업을 이끌어온 그의 경영이념과 실천적 삶을 통해,
한국경제 자본주의화의 길을 돌아보고, 오늘 우리의 기업과 재벌들이
어떻게 돈을 벌고 어떻게 돈을 써야 하는지를 함께 생각해보고자
한다.



861

추천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