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일 (일)
(백)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이는 내 몸이다. 이는 내 피다.

영화ㅣ음악 이야기 영화이야기ㅣ음악이야기 통합게시판 입니다.

Don't Give Up - Peter Gabriel & Kate Bush│팝이다.

스크랩 인쇄

이강길 [u90120] 쪽지 캡슐

2008-06-18 ㅣ No.10333

Don't Give Up - Peter Gabriel & Kate Bush
Don't Give Up (Sigle 1986 Geffen Records)
Peter Brian Gabriel (1950 - )
No.1 - Don't Give Up
 
In this proud land we grew up strong we were wanted all along
I was taught to fight taught to win I never thought I could fail
No fight left or so it seems I am a man whose dreams have all deserted
I've changed my face I've changed my name but no one wants you when you lose
Don't give up cause you have friends don't give up you're not beaten yet
Don't give up I know you can make it good
Though I saw it all around I never thought that I could be affected
I thought that we would be the last to go it is so strange the way things turn
Drove the night toward my home the place that I was born on the lakeside
And as daylight broke I saw the earth the trees had burned down to the ground
Don't give up you still have us
Don't give up we don't need much of anything
Don't give up cause somewhere there's a place there's a place where we belong
Got to walk out of here I can't take anymore
I'm gonna stand on that bridge keep my eyes down below
Whatever may come and whatever may go
That river's flowing that river's flowing
Moved on to another town tried hard to settle down
For every job so many men so many men no one needs
Don't give up cause you have friends don't give up you're not the only one
Don't give up no reason to be ashamed don't give up you still have us
Don't give up now we're proud of who you are
Don't give up you know it's never been easy
Don't give up cause I believe there's a place there's a place where we belong
Don't give up - Kate Bush & Peter Gabriel
1980년대 후반 < 연예가중계 >의 맨 마지막엔 가수 이광조씨의 동생이 나와 팝스 계 소식과 뮤직비디오를 소개했다. 그런데 거기서 피터 가브리엘과 케이트 부시가 함께 부른 'Don't give up'이 나왔다. 석양을 배경으로 피터와 케이트가 꼭 껴안고 이 노래를 부르는 모습을 보고 울컥했다. 대체 무엇 때문에 포기하지 말라는지, 왜 둘이 꼭 껴안고 노래를 부르는지 궁금해서 가사를 해석했다. 피터 가브리엘이 절망적인 목소리로 부르면 케이트 부시가 위로하는 음색으로 '포기하지 마세요. 우리가 있잖아요. 제발 포기하지 마세요'라고 부르는데 '나라면 절대 포기 안 하겠다'라는 생각을 할 정도로 좋아했다. 노래를 듣고 처음으로 눈물을 흘린 경험을 안겨준 곡이다. ◆ 소승근이 좋아하는 노래들
2006/10 / IZM - New Stream
     
So (6th) - 80년대 사람들과 그 정신에 대한 다각도 분석
수록곡 '슬레지해머'(Sledgehammer)가 영미 싱글차트 정상을 차지하면서 동시에 널리 알려진 앨범이다. 상업적 성공으로 인지도가 상승한 것은 사실이지만, 따지고 보면 빅 히트를 목적으로 만든 것 같지 않은 느낌을 줄만큼 '생경한 곡조'와 '신경쓰게 하는 테마와 착상'으로 이루어져있다.
이 앨범에 일관되어 흐르는 것은 80년대와 그 시대 사람들의 정신상태에 대한 다각도 분석이다. 그러면서 80년대 사회에 대한 비판을 슬쩍 끼워 넣고 있다.
난 내 길을 걷지, 난 성공하고 있지. 난 보여야만 해. 실제보다 훨씬 더 크게..... 내 차는 커지고 있어. 내 집도 커지고 있어. 내 눈도 커지고, 내 입도 내 배도 커지고 있어. 내 은행구좌도. 바로 때는 왔어. 때는 왔어. '빅 타임'(Big time)
이 곡은 80년대 사람들의 과잉욕구에 대한 조롱이다. 그는 동시대 사람들의 자아를 지배적 자아와 복종적 자아로 보고, 둘 모두를 피해야 할 극단으로 주장한다. '밀그램의 37'이란 부제를 달고 있는 곡 '우린 들은 것을 하지'(We do what we're told) 는 '빅 타임'이 지배적 자아를 상징하는 것과 반대로 복종적 자아를 묘사하고 있다. 이 곡은 한 대학의 교육효과 실험을 모델로 했는데 그 실험은 교사의 전기충격 형태의 교육법이 학생들에게 도움을 준다는 내용이었다. 해롭다고 인식된 극단적 형태가 교육효과 전달을 가져온다는 내용이었다. 해롭다고 인식된 극단적 형태가 교육효과 전달을 가져온다는 얘기인데 피터 가브리엘(Peter Gabriel)은 '배우는 자의 복종적 자아'가 가져올 극단적 결과를 우려하고 있다.
복종적 자세에 대한 피터 가브리엘의 거부감은 '포기하지 말아요'(Don't give up)에도 나타난다. 이 곡은 미국 사진작가 도로디어 랜지가 찍은 공황기 사진에 영감을 얻어 파업중인 영국의 탄광노동자들을 위해 쓰여졌다.
...그러나 당신들이 져버리면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아. 포기하지 말아요. 친구가 있잖아요. 당신들은 아직 진 것이 아니에요. 포기하지 말아요. 난 당신들이 해낼 수 있음을 알아요.
영국의 최고 여가수 케이츠 부시(Kate Bush)와 듀오로 부른 이 곡은 드높은 서정성 때문에 국내에서도 인기를 누렸다.
당시 그의 '피지배'에 대한 관심은 제3세계의 음악을 가리키는 월드 뮤직에 대한 헌신으로 절정을 이뤘다. 이미 82년 '음악예술과 무용의 세계'(World of Music Arts and Dance:WOMAD) 페스티벌을 조직, 영미음악을 넘어 제3세계 음악에 투신했으며 유명한 곡 '비코'(Biko,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시인겸 운동가로 인종 분리 주의자에 의해 피살되었다)는 실제 남아프리카 공화국 현지 음악인과 함께 레코딩한 것이었다. 따라서 피터 가브리엘은 80년대 중반 위세를 떨친 '월드뮤직' 붐의 주역으로 리틀 스티븐, 폴 사이먼, 데이비드 번(그룹 토킹 헤즈의 리더) 등과 같은 선상에 위치한다. 이 앨범의 '네 눈에'(In your eyes)에서 그는 세네갈의 유명가수 유수 누두르(Youssou N'Dour)를 초청, 게스트 보컬로 참여시켰다.
피터 가브리엘은 이후 마틴 스콜세지 감독의 영화 <예수 최후의 유혹>의 사운드트랙 앨범을 제작하는 등 활동을 계속했으나 이 음반의 신화(2백만 장 이상의 판매)를 재창조하지는 못했다. 그의 관심은 성공적인 앨범을 만드는 것이 아닌 'WOMAD, 음악예술과 무용의 세계' 활동에 쏠려있었다. 피터 가브리엘은 현실에 복종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상업적 가치가 전부였던 80년대 팝계의 '괴짜'였다.
그리고 이 앨범은 때로 괴짜도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수록곡-
1. Red Rain
2. Sledgehammer
3. Don't Give Up
4. That Voice Again
5. In Your Eyes
6. Mercy Street
7. Big Time
8. We Do What We're Told
9. This Is the Pictures
1994/06 임진모 (jjinmoo@izm.co.kr) / IZM - New Stream
     
Peter Gabriel / 피터 가브리엘  
데뷔/결성 : 1977년
활동 시기 : 1970, 1980, 1990, 2000년대
멤     버 : 솔로활동
하나의 전형은 유행을 낳고, 하나의 명작은 아류를 낳는다. 어떤 뮤지션은 새롭고 독창적인 음악을 창조하는가 하면 또 어떤 이들은 남이 만든 형식에 자신의 능력을 맞춰나간다. 그러나 영국 출신의 싱어 송라이터 피터 가브리엘(Peter Gabriel)은 다른 아티스트가 닦아 놓은 길을 거부했다. 스스로 선택한 고행의 길을 통해 음악의 프리즘을 다각화시켰고 대중 음악의 개념을 넓혔다. 아트록, 팝록, 컬리지록 등을 두루 섭렵하면서 자신의 음악 제국을 건설한 그는 또한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의 민속 음악을 월드 뮤직(다분히 서양인 중심적인 시각이지만)이란 이름으로 알린 일등공신이기도 하다. 상업적이고 틀에 박힌 유행음악에 싫증을 느낀 팬들은 피터 가브리엘의 노래들을 통해 음악적인 갈증을 풀었고 지적인 배고픔을 채웠다.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피터 가브리엘은 명 프로그레시브 그룹 제네시스(Genesis)를 이끌면서 음악적인 이상을 찾았고, 1977년부터 시작된 솔로 활동은 그 유토피아를 향해 발걸음을 내딛는 실천의 시간이었다. 그가 몸담고 있던 제네시스는 1970년을 전후한 기간 동안 클래식을 근간으로 한 복잡한 곡 구조와 난해한 가사, 그리고 시각적인 충격 요법을 가미한 공연으로 가장 초현실적인 아트록 밴드로 팬들의 뇌리에 깊이 각인되었고 그 선두엔 바로 피터 가브리엘이 있었다.
그러나 1976년에 친정인 제네시스를 출가한 이 영국 아티스트는 이전처럼 일반 대중들이 쉽게 수용하기 어려운 음악에서 좀 더 대중적인 음악으로 방향타를 틀었다. 그 대표적인 곡이 1986년 빌보드 싱글 차트 정상을 차지한 'Sledgehammer'이지만 그러한 세속적인(?) 성공이 그의 음악 철학을 송두리째 뒤흔든 것은 아니었다. 친숙한 멜로디의 강점을 살리면서도 자신만의 고집스런 눈으로 응시한 날카로운 가사와 긴장감을 풀지 않는 도전적인 실험 정신으로 수많은 뮤지션들은 그를 대중 음악의 스승이자 정신적인 지주로 추앙하고 있다.
1977년, 포크 스타일의 기타 연주로 포문을 여는 데뷔 싱글 'Solsbury hill(68위)'이 수록된 처녀작 <Peter Gabriel>부터 1980년의 세 번째 음반까지 모두 자신의 이름을 앨범 타이틀로 정한 그는 이전 제네시스 시절과는 달리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투사로 거듭났다. 특히 <Peter Gabriel Ⅲ>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반인륜적인 인종차별 정책에 저항한 인권운동가 스티븐 비코에게 헌정한 명곡 'Biko'와 케이트 부시(Kate Bush)의 얼음처럼 차갑고 오싹한 백보컬이 전율적인 'Games without frontiers(48위)'가 자리하고 있어 그 가치를 더하고 있다. 1994년에 열린 우드스탁 페스티발 25주년 기념 공연에서 피터는 관중들과 함께 'Biko'를 열창해 쉽게 잊혀지지 않는 감동과 환희의 무대를 연출하기도 했다.
제네시스 시절부터 짙은 화장과 화려한 공연으로 시각적인 면에서도 앞서갔던 가브리엘은 1981년 MTV가 개국하면서 자신의 진가를 발휘하기 시작한다. 1982년의 4집 <Security>에 수록된 'Shock the monkey(29위)'의 긴박한 멜로디를 그로데스크한 분위기와 공포스런 화면으로 풀어낸 뮤직비디오는 MTV 역사상 가장 훌륭한 작품 중 하나로 기억되고 있으며 스탑 모션으로 제작된 1986년도 싱글 'Sledgehammer'도 여러 상을 수상하면서 뮤직비디오 역사에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렇듯 영상에도 깊은 조예를 나타낸 그는 1984년 알란 파커 감독의 영화 <버디>와 1988년 마틴 스콜세지의 <예수의 마지막 유혹>의 사운드트랙을 전담함으로써 자신의 활동 반경을 확장하기도 했다. 지금까지 수상한 4개의 그래미 트로피 중에서 3개가 뮤직비디오 부문일 정도로 '보는 것'에 대한 그의 집념과 의지는 대단하다.
또한 그는 대중음악의 새로운 대안을 제3세계의 민속음악에서 찾기 시작했다. 피터 가브리엘은 WOMAD(World of Music, Arts and Dance) 재단을 만들어 1980년대 폴 사이먼(Paul Simon), 토킹 헤즈(Talking Heads)의 리더 데이비드 번(David Byrne)과 함께 아프리카와 남미, 그리고 아시아의 전통음악을 서방인들에게 널리 알렸다. 자신의 곡인 'Biko'의 도입부에서 들을 수 있는 아프리카 합창단의 음원과 <So> 앨범에 수록된 세네갈 출신의 남성 가수 유쑨 두루(Youssou N'Dour)를 백보컬리스트로 모셔온 'In your eyes' 등은 타지역의 민속음악에 대한 그의 각별한 애정을 의미하는 대표곡이다.
1986년에 발표된 통산 다섯 번째 정규 음반 <So>는 피터 가브리엘을 상업적으로 성공한 남성 가수로 등극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첫 싱글 'Sledgehammer'가 빌보드 싱글 차트 정상의 고지를 점령했고 'In your eyes(26위)'와 'Big time(8위)', 케이트 부시와 호흡을 맞춘 발라드 'Don't give up(72위)'이 무더기로 차트를 누비면서 일반 팝 팬들과의 거리감을 대폭 줄였다. <So>는 앨범 차트 2위까지 상승했고 그래미에도 여러 부문에 후보로 노미네이트 되면서 대중성과 음악성의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 특히 'In your eyes'는 1989년에 카메론 크로우(Cameron Crowe)의 영화 <세이 애니씽>에 삽입되면서 강렬한 인상을 남겨 다시 싱글 차트에 입적되기도 했다(41위).
1989년, 영화 <예수의 마지막 유혹>의 사운드트랙 <Passion>으로 그래미 뉴에이지 부문을 수상한 그는 1992년에 <Us>를 발표했다. 피터 가브리엘과 핑크 빛 염문을 뿌렸던 아일랜드의 자존심 시네이드 오코너(Sinead O'Connor)와 입을 맞춘 'Come talk to me'를 위시해 그루브한 싱글 'Steam(32위)', 'Digging in the dirt(52위)'를 배출한 이 작품은 그러나 전작의 영광을 이어가지는 못했다.
이후 'Secret Live'로 명명된 전 대규모 세계 순회 공연의 열광과 희열을 담은 음반과 비디오를 1994년에 발표해 다시 한번 그래미상을 거머쥔 피터 가브리엘은 현재 음악과 영상, 그리고 컴퓨터 산업을 아우르는 멀티미디어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다시 한번 세계에 가할 충격을 준비하고 있다.
2002/07 소승근 (gicsucks@hanmail.net)
     
Don't Give Up - Sinead O'connor, Sting & Peter Gabriel
Live 1990
Sinéad Marie Bernadette O'Connor 1966-
Don't Give Up
 
     
     
Don`t Give Up - Willie Nelson (with Sinead O`Connor)
Across the Borderline (SONY 1993)
Willie Nelson 1933-
Track No 9. Don`t Give Up
 
     
     


153 1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