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9일 (토)
(홍)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너는 베드로이다. 나는 너에게 하늘 나라의 열쇠를 주겠다.

묻고답하기 천주교 ㅣ 성경 ㅣ 7성사 통합게시판입니다.

q 한님성서연구소에서 옮겨온 내용

인쇄

이정임 [kr3217] 쪽지 캡슐

2014-05-28 ㅣ No.7885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샬롬(그리스도의 평화)

창세기 3장 17절에 하느님께서 아담에게 하시는 말씀입니다.
"땅은 너 때문에 저주를 받으리라."
히브리어 원문도 보통 우리들이 사용하는 일반적인 저주와
같은 의미로 쓰이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땅은 저주를 받으리라

 

 글쓴이 : 주원준
조회 : 23  
글나라님 안녕하세요?

질문하신 창세 3,17에서 쓰인 '저주'는 '아루르'(????)라는 히브리어를 옮긴 말인데
일반적으로 '저주'로 옮기는 말이고
구약성경에서도 자주 나오는 말입니다.

사실 창세 3,17의 이 저주는 참 흥미로운 내용입니다.

왜냐하면 이는 최초의 인간의 죄악에 대한 결과이며
인간의 행위 때문에 자연이 저주를 받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는 성경이 본디 매우 생태적인 관점을 바탕으로 쓰여진 책이라는 점을 드러냅니다.

한 사람이 지은 죄는 그 영향이 한 사람에 국한되지 않고
동료 인간과 공동체에 영향을 끼치고
결국 온 피조물 전체와 연관됩니다.

이렇게 죄에는 연대성이 있기 때문에
죄에서 구원되려면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안되고
온 공동체가 함께 노력해야 하며
결국 세상을 창조하신 하느님께서 도와주셔야만 되는 일입니다.

이런 죄와 구원의 신비가
이미 인간이 저지른 최초의 죄에서 훤히 다 드러나고
그 구원의 신비를 설명하는 구약성경의 본문은
현대의 가장 최신의 학문인 생태학적 시각으로도
훌륭히 설명된다는 사실이
참 흥미롭지 않습니까?

성경 공부에 열심하신 모습에 박수를 보냅니다.

주원준 드림



1,041 1댓글보기

신고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