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9일 (토)
(홍)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너는 베드로이다. 나는 너에게 하늘 나라의 열쇠를 주겠다.

묻고답하기 천주교 ㅣ 성경 ㅣ 7성사 통합게시판입니다.

q Re:세례자 요한이 에쎄네파(쿰란 공동체 유다교 종파) 출신인가요?

인쇄

이정임 [rmskfk] 쪽지 캡슐

2016-12-06 ㅣ No.8970

[전영준 신부의 가톨릭 영성을 찾아서] (2) 초세기 ① - 유다인의 종교 생활



고행을 살아가는 에세네파

한편 ‘에세네파’ 사람들은 가족과 세상을 떠나 척박한 장소에서 고행의 삶을 살며 하느님의 말씀에 집중했습니다.

하느님의 구원이 도래할 때 가장 먼저 구원받기를 원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예수님 당대에 요르단 부근 광야에서 살며 회개의 세례를 선포하고, 요르단 강에서 유다 지방 사람들과 예루살렘

주민들에게 세례를 준 요한은 “낙타 털 옷을 입고 허리에 가죽 띠를 둘렀으며, 메뚜기와 들꿀을 먹고”(마르 1,6)

살았습니다. 이전에 요한 세례자는 에세네파에 속한 사해(死海) 부근 ‘쿰란’ 공동체에서 살았다는 전설이 있었습니다. 

 

http://www.pbc.co.kr/CMS/newspaper/view_body.php?cid=662373&path=201611 

 

쿰란 사본 연구 최권위자 퓌에쉬 신부님께서는 ...

 

퓌에쉬 신부는 예수 시대 엄격주의자들인 에세네파가 쿰란 공동체를 형성했고 세례자 요한도 그 일원이라는 학설은

분명히 잘못된 오류라고 지적했다. "세례자 요한이 쿰란 공동체 일원이었다는 증거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쿰란 공동체와

에세네파는 구별돼야 합니다. 세례자 요한의 아버지는 성전에서 봉사한 사제였습니다

 

http://m.pbc.co.kr/paper/view.php?cid=233756&path=200712

 

 

[성경 속의 인물] 에세네파



유다 마카베오의 독립전쟁에 히브리인들은 적극 가담했다. 특히 계율에 충실했던 하시딤의 참여는 막강한 힘이 되었다(1마카 1.42). 하지만 이들은 전투는 능동적이었지만 정치에는 비판적이었다. 그러다 유다 마카베오가 전사하고 그의 동생 요나탄이 실권을 잡자 이들에게 난감한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이스라엘은 희랍의 지배를 받았고 그들과 싸우고 있었다. 그런데 희랍의 ‘발라스’ 임금이 요나탄을 회유하기 위해 대제사장직을 제의했던 것이다(1마카 10,20). 하지만 요나탄은 ‘차독 가문’이 아니기에 대사제가 될 수 없었다. 다시 말해 그가 제사장직을 받아들이면 율법을 위반하는 것이 되었다. 그런데 그는 이 제안을 빌미로 스스로 대제사장직에 올랐다. 당연히 ‘하시드 사람들’은 반발했다.

한편 이렇게 되자 정통 대사제는 자리에서 물러났다. 정치논리가 앞서는 상황에서 더 이상 제사장직을 수행할 수 없었던 것이다. 많은 하시딤이 그를 지지하며 요나탄의 군대를 떠났다. ‘정통 대사제’는 추종자들과 함께 광야로 물러가 때를 기다렸다. 그가 쿰란 공동체의 창시자인 ‘정의의 스승’으로 알려져 있다. 에세네파는 이 와중에 태동했다. 요나탄을 반대하며 돌아섰던 강경세력이 에세네파로 변신한 것이다. 이들 중에는 쿰란 공동체에 합류한 이들도 있었고 그렇지 않은 이들도 있었다.

유대 역사가 ‘요세푸스’의 기록에 의하면 당시 에세네파는 삼천 명이 넘었고 대부분 쿰란 공동체에 합류해 핵심세력이 되었다. 이들은 모세가 활동하던 시기의 광야생활을 모델로 받아들였으며 임박한 종말을 확신하고 있었다. 재산은 공유했으며, 독신생활을 당연한 것으로 여겼다. 오래된 회원일수록 흰옷을 입었고 성경을 중시해 많은 필사본을 남겼다. 하지만 정작 예수님께서 오셨을 때는 아무런 반응이 없었다. 기원후 70년 예루살렘 함락과 함께 이들의 공동체도 와해되고 만다.

‘에세네’라는 말의 어원에 대해서는 일치된 견해가 없다. 다만 이 단어가 ‘경건’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하시딤(hasidim)과 연관 있을 것이라고 추측할 뿐이다. 그렇지만 어떻게 해서 이런 표현이 등장했는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그리고 에세네라는 말은 쿰란문서나 신약성경에도 등장하지 않는다. 에세네파는 여러 면에서 신비스런 조직이었다.

[2011년 6월 5일 주님 승천 대축일(홍보주일) 가톨릭마산 14면, 신은근 바오로 신부(미국 덴버 한인성당 주임)]

 



4,076 1댓글보기

신고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