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8일 (금)
(홍) 성 이레네오 주교 학자 순교자 기념일 주님께서는 하고자 하시면 저를 깨끗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홍보게시판 교구ㅣ수도회ㅣ본당ㅣ기관ㅣ단체ㅣ기타 가톨릭 관련 각종행사 교육, 알림 게시판 입니다.

제4회 생명관련 교회문헌읽기 모임(생명위원회)

스크랩 인쇄

생명위원회 [forlife] 쪽지 캡슐

2007-11-07 ㅣ No.5171

생명위원회에서는 '생명과 가정'을 주제로 제4회 교회문헌읽기 모임을 실시합니다.
 
오늘날 점차 붕괴되어 가는 가정의 위기 속에 진정한 그 가치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에 관심있는 모든 분들의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문헌명 : 사목헌장  
           가정권리헌장 
           가정공동체
           가정을 위한 교서(가정, 사랑과 생명의 터전)
 
☆ 일시 : 2007년 11월 13일~27일, 매주(화) 오후2시~3시 30분
☆ 장소 : 생명위원회 회의실(명동 가톨릭회관 1층)
 
* 책이 있으신 분은 가져오셔도 되고 생명위원회로 오시면 교재 구입 가능합니다.
** 참석하실 분은 미리 신청하여 주시면 교재 준비에 도움이 되겠습니다.
    신청: ☎ 02-727-2350(생명위원회), 참가비는 없습니다. 
*** 아래에 참조로 교회 문헌 '가정을 위한 교서'와 '가정공동체'의 목록을 담아 올립니다.
 
   ----------------------------   아      래   ------------------------------
 
            가정을 위한 교서
가정, 사랑과 생명의 터전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차례
 
인사말, 들어가는 말
 
 
      제1장   참 가정에 관한 교회의 가르침
²        성서가 가르치는 가정
²        가정은 생명의 보금자리
²        혼인은 성사
²        부부의 사랑은 성사
²        부모의 권리요 의무인 자녀 교육
²        가정은 교회
²        가정 교회의 역할
²        가정의 영성과 이상적인 가정의 모습
-         생명을 존중하는 공동체
-         신앙을 전수하고 전달하는 공동체
-         대화하는 공동체
-         복음을 믿고 삶으로써 선포하는 공동체
-         죽음을 아름답게 맞이하는 공동체
 
      제2장 무너져 가는 우리나라 가정
²        혼인에 대한 인식 변화
²        자녀 교육에서 나타나는 심각한 문제
²        아버지의 가정 내 역할 위축
²        맞벌이 가족
²        인구의 고령화와 노인층의 외로움
²        날로 늘어나는 가정 폭력
²        동성애
 
    제3장 사목적 대안
      . 바른 가정 교육
²        성(性)과 생명 교육은 부모의 몫
²        성(性)과 생명 교육에서 사목자의 몫
²        부모가 할 혼인 교육
-         먼 준비
-         중간 준비
-         가까운 준비
 
. 사목적 배려
²        가정 중심의 통합적 사목 방향으로
²        가정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²        가정 사목과 소공동체 사목
²        본당 사제의 사목적 배려
²        가정생활을 돕는 교회의 주일학교 교육
²        가족 치료와 상담을 위한 전문인 육성
²        가족 복지 정책과 가정 사목
²        이혼자와 재혼자를 위한 사목적 배려
²        편부모 가정과 조손 가정(조부모와 손자녀)에 대한 사목적 배려
²        도박 중독자와 알코올 중독자 가정에 대한 사목적 배려
²        가정 폭력으로 고통 받는 가정에 대한 사목적 배려
²        가정 사목을 위한 기관과 시설 운영
²        매스미디어의 활용
 
 나가는 말
 
--------------------------------------------------------------------------
 
교황요한바오로2세의 사도적 권고
가정 공동체
-FAMILIARIS CONSORTIO-
그리스도인 가정의 역할
(한국천주교주교회의)
 
현대 세계에 있어서의
그리스도인 가정의 역할에 관하여
전 가톨릭 교회의 주교단
성직자 및 신자들에게 보내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성하의
사도적 권고
가정 공동체
 
서론
 
1.     사정에 봉사하는 교회
2.     선행 세계 주교 대의원 회의와1980년도 세계 주교 대의원 회의
3.     결혼과 가정의 소중한 가치
 
제1부 현대 사정의 밝은 면과 어두운 면
4.       상황을 이해할 필요성
5.       복음적 식별
6.       현대 세계의 가정 상황
7.       신자의 양심에 대한 환경의 영향
8.       우리 시대에 필요한 예지
9.       점진적 회개
10.   토착화
 
제2부 결혼과 가정에 대한 하느님의 계획
11.   인간은 사랑이신 하느님의 모상
12.   결혼과 하느님과 사람들의 일치
13.   교회의 신랑인 예수 그리스도와 혼인성사
14.   자녀는 결혼의 소중한 선물
15.   가정은 인간들의 공동체
16.   결혼과 동정 혹은 독신
 
제3부 그리스도인 가정의 역할
17.   가정은 본연의 것이 되어라
Ⅰ. 인간 공동체의 형성
18.   사랑은 일치의 원리이고 힘
19.   부부 공동체의 불가분적 일치
20.   불가분의 일치
21.   가정의 폭넓은 일치
22.   여성의 권리와 역할
23.   여성과 사회
24.   여성의 존엄성 침해
25.   남편과 아버지로서의 남성
26.   자녀의 권리
27.   가정의 노인들
 
Ⅱ. 생명에의 봉사
    1) 생명의 전달
 28. 창조주 하느님의 사랑에 협력
 29. 교회의 가르침과 규범은 옛 것이며 새 것
 30. 교회는 생명을 지지한다.
 31. 하느님 계획이 더욱 완전히 실현되도록
 32. 인간과 그 소명의 통합적 안목
 33. 교회는 난관에 처한 부부들의 스승이요 어머니
 34. 결혼자들의 도덕적 진보
 35. 확신과 실천적 도움을 주는 것
     2) 교육
 36. 교육에 관한 부모의 권리와 의무
37. 인간 생명의 기본 가치 교육
38. 교육의 사명과 혼인 성사
39. 교회의 첫경험
40. 다른 교육자와의 관계
41. 생명을 위한 다양한 봉사
 
Ⅲ. 사회 발전에의 참여
 42. 가정은 사회의 기본적 활력 세포
 43. 가정생활은 일치와 나눔의 체험
 44. 사회적 정치적 역할
 45. 가정에 봉사하는 사회
 46. 가정 권리 헌장
 47. 그리스도인 가정의 은혜와 책임
 48. 새로운 국제 질서
 
Ⅳ. 교회의 삶과 사명에 참여
       49. 교회의 신비 안에서의 가정
       50. 특수하고 독창적인 교회 역할
   1) 그리스도인 가정은 믿고 복음 선포하는 공동체
 51. 신앙은 가정에 대한 하느님의 계획을 발견하고 의식하는 것
 52. 그리스도인 가정의 복음화 직무
 53. 교회적 봉사
 54. 전인류에서 복음을 전함
    2) 그리스도인 가정은 하느님과 대화하는 공동체
 55. 집안에 있는 교회의 지성소
 56. 결혼은 상호 성화의 성사이고 예배 행위
 57. 결혼과 성체
 58. 회개와 화해의 성사
 59. 가정 기도
 60. 기도의 교육자
 61. 전례 기도와 개인 기도
 62. 기도와 생활
   3) 그리스도인 가정은 인간에 봉사하는 공동체
63. 사랑의 새로운 계명
64. 형제 자매 안에서 하느님 모상을 발견
 
제4부 가정에 대한 사목적 배려; 단계, 구조, 행동인, 상황
Ⅰ. 가정에 대한 사목적 배려의 단계
65. 교회는 그리스도인 가정의 동반자
66. 결혼 준비
67. 결혼식
68. 혼인성사와 냉담 신자의 복음화
69. 결혼 후의 사목적 배려
 
Ⅱ. 가정 사목의 구조
        70. 교회 공동체와 본당
        71. 가정
        72. 가정 협의체
 
Ⅲ. 가정 사목의 행동인
73. 주교와 사제
74. 남녀 수도자
75. 평신도 전문가
76. 사회 홍보의 수용자와 전달자
 
Ⅳ. 어려운 경우의 가정 사목
77. 특수 환경
78. 혼종 결혼
79. 비정상적 상황에서의 사목 활동
80. 가) 실험 결혼
81. 나) 자유 결혼
82. 다) 사회 결혼만 하는 가톨릭 신자
83. 라) 별거하거나 이혼하였으나 재혼하지 않은 사람들
84. 마) 이혼한 후 재혼한 사람
85. 가정이 없는 이들
86. 결론



425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