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16일 (일)
(녹) 연중 제11주일 어떤 씨앗보다도 작으나 어떤 풀보다도 커진다.

시키코모리(은둔형 외톨이)상담전문/박영보 소장/‘우리 아이 마음을 열 수 있을까요?’

스크랩 인쇄

서울대교구문화홍보국 [commu] 쪽지 캡슐

2007-05-16 ㅣ No.201

11살 희섭(가명)이는 여느 초등학교 4학년처럼 함께 뛰어 놀거나 친구를 집에 데려 오는 일이 없습니다. 집에서도 학교에서도 말수가 적습니다.

 

유통업계에 종사하는 희섭이 아버지는

엄마가 교육을 잘못 시켰다

인간관계가 얼마나 중요한데 아이를 이렇게 가르치냐”고 목소리를 높입니다.

 

엄마와 아빠가 소리 높여 싸우는 동안 옆에 있는 희섭이는 과자를 먹습니다. 그리고 보던 TV만 뚫어져라 봅니다. 목소리가 더 높아지고 폭언이 오가도 용현이는 아랑곳하지 않습니다. 희섭이의 어머니는 희섭이의 태도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막막합니다.

 

세정가족상담연구소장 박영보(53세·女)에게 상담소를 찾는 사람들의 사연을 묻자 위의 사례를 들려주었다.

 

상담결과, 매일같이 싸우던 부부가 화해를 위해 아이와 함께 여행을 떠났지만 여행지에서 다시 언쟁이 오갔고 아버지는 자신을 붙잡는 아이를 밀치고 나가버렸다. 화난 아버지의 힘을 감당하기 힘들었던 아이는 냉장고에 머리를 박았고 크게 울었다. 하지만 어머니는 울기만 했다고 한다. 희섭이가 5살 때 일어난 일이었으며 그 후 희섭인 남들에게 냉소적이고 한번도 우는 모습을 보인 적이 없다고 한다.

 

박보영 소장은 그때 엄마가 아이를 안고 함께 울어 주었더라면 몇 년이나 아이 혼자 아파하지 않았을 텐데…” 하며 가정불화로 인해 마음 쉴 곳 없는 이들에게 쉴 수 있는 공간이 되어주고 싶다고 한다.

 

박영보 소장의 글의 일부이다.

 

「살기 위해서 가출할 수 밖에 없었다는 청소년, 말을 하고 싶어도 들어줄 사람이 없어 하루 종일 강물만 보고 앉아있기도 하고 여러 날, 늦은 밤까지 연거푸 술을 들이키는가 하면 오디오의 볼륨을 귀가 떨어져라 틀어놓은 채 몇 날이고 밤을 지새운다는 청년.

 외된 학생에게만 많은 관심과 사랑을 베풀어 나머지 학생들에게 상처를 주게 되어 이해와 배려를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젊은 여선생님도 떠오릅니다.

 

남편으로부터 버림받은 볼품없는 한 여성이 세상으로부터 소외된 이들에게 보여준 작은 관심이 세상을 따뜻하고 사랑이 충만한 곳으로 변하게 해 줬다는 영화‘바그다드 카페’처럼 삶을 함께 나누는 심적 카페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냉소적인 분위기가 화해의 분위기로, 사랑의 표현이 자연스러워 지는 사람들의 변화에 함께 나누고 함께 가야 한다고 혼자서 아파하지 않기를 적극 강조한다.

 

최근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회장 김용태 신부) 소속의 서울가톨릭상당전문가협의회(회장 지현배 신부)’ 창립에 홍보분과위원직을 맡아 입양 가족의 어려움에 대한 프로그램 마련과 소외된 이웃들을 위한 상담 및 활동에 대한 방안을 함께 모색 중이다.

 

현재 박영보 소장은 여러 대학에서 음악심리치료과정, 특수교육과 등 사회복지학과 교수직을 전임하고 있으며 세정가족상담연구소 외에도 사회문제로 발생된 소외된 사람들에게 필요한 곳에서 활동하고 있다. 

 

===========================================

 

▶세정가족상담연구소 548-5248

서울 강남구 논현동에 위치(지하철 7호선 논현역 1번 출구)

 

<상담내용>

가족상담(가정폭력 포함)

학교폭력

심리치료를 요하는 내담자를 위한 영역별 검사

(TAT, CAT, MMPI, 에니어그램, 로샤, 지능검사, 인성검사)

행동수정 및 학습장애 프로그램

음악, 미술, 놀이치료실 운영

전공자들을 위한 임상심리 교실과 강의 개설

예약을 통한 면접상담 (, 오후 1~6)

지역내 신경정신과와 교류 중임.

 

 

 

박영보 소장 (sejungcounselor@hanmail.net)

 

경력사항

 

1978 ~ 1992

서울 선희고등학교 교사 재직

1997 ~ 현재

세정가족성장연구소(부설 세정심리상담센터) 소장

1998 ~ 2001

김군자음악치료연구소 연구원

대한음악치료학회 총무

알코올단주 프로그램 진행위원

독일 게슈탈트 음악심리치료사 전문과정 이수

2002 ~ 2003

국립서울병원 소아정신과 수퍼바이저

2003 ~ 현재

김정일 신경정신과 임상심리 치료사 위촉

2004 ~ 현재

대한음악치료학회 이사

2005 ~ 현재

여성부 가정폭력 상담사, 성폭력 상담사 과정

음악치료 및 심리치료강사

이화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

-음악심리지도사 과정 team teaching(심리진단 및 측정평가)

천안백석대학교 특수교육과 강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과 강사

나사렛대학교 대학원 재활복지학과 강사

2006 ~ 현재

총신대학교 콘서바토리 음악심리치료 과정 전담 교수

2007 ~ 현재

성화대학 사회 복지학과 전임 교수

 

 

천주교 서울대교구 문화홍보국 이예선



59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