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8일 (금)
(홍) 성 이레네오 주교 학자 순교자 기념일 주님께서는 하고자 하시면 저를 깨끗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최초 외국신자를 위한 성지순례 안내자 양성

스크랩 인쇄

서울대교구문화홍보국 [commu] 쪽지 캡슐

2008-05-23 ㅣ No.347

 
 

“국내최초 외국신자를 위한 성지순례 안내자 양성”

한국순교자현양위원회 『제1기 성지순례 봉사자 학교』

 

문의: 한국순교자현양위원회 ☎ 02) 2269-0413

http://www.martyrs.or.kr

 

 천주교 서울대교구 한국순교자현양위원회(위원장 최창화 몬시뇰)는 외국인과 이주교포 교우들의 성지순례를 안내하는 봉사자를 양성하고자 ‘제1기 성지순례 봉사자 학교’를 오는 27일(화)부터 개강한다.

  ‘제1기 성지순례 봉사자 학교’는 5월27일(화)부터 6월24일(화)까지 5주 동안 매주 화요일 가톨릭회관 205-1호에서 진행되고, 순교신심(정하권 몬시뇰/마산교구) 신유박해(여진천 신부 / 배론성지) 기해박해(김길수 교수 / 전 대구가톨릭대학교) 병오박해(서종태 박사 / 호남교회사연구소) 병인박해(조현범 박사 / 한국교회사연구소) 등 전국 주요 성지의 역사와 배경을 배운다.

  한국순교자현양위원회 최창화 몬시뇰은 “그동안 한국에서 열린 크고 작은 종교 행사가 있을 때마다 많은 외국인들과 이주교포들이 우리나라의 성지를 방문했었다. 그때마다 한국순교자현양위원회에서는 외국어가 가능한 위원들 중 상황에 맡는 이들이 안내를 맡아왔다”면서 “이에 이들을 위한 봉사자들의 양성과 체계적인 관리가 시급하다 생각되어 ‘성지순례 봉사자 학교’를 열게 되었다”고 전했다.

  ‘성지순례 봉사자 학교’를 이수한 봉사자들은 앞으로 성지 안내와 성지관련 책자의 외국어 번역, 한국순교자현양위원회에서 준비하고 있는 이주교포2세들의 고국방문 프로그램 등에서 활동하게 된다.

  한편 지금까지 절두산순교성지 등 일부 성지에서 자체적으로 외국어 안내를 실시하는 경우는 있었으나, 전국 성지를 대상으로 외국어 안내자를 양성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제1기 성지순례 봉사자 학교

  ㆍ일 시: 5월27일(화) ~ 6월24일(화) / 매주 화요일 오후 7시30분~9시30분
  ㆍ장 소: 가톨릭회관 205-1호
  ㆍ대 상: 55세 이하의 직장인과 청년 (외국어 회화 가능자 우대)
  ㆍ수강료: 5만원 (교재비 포함)
  ㆍ문 의: 한국순교자현양위원회 ☎ 02) 2269-0413~4
  ㆍ강사 및 교육일정

 

강의주제

강 사

제1강 (5월27일)

순교심심

정하권 몬시뇰 (마산교구)

제2강 (6월3일)

신유박해

여진천 신부 (배론성지)

제3강 (6월10일)

기해박해

김길수 (전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수)

제4강 (6월17일)

병오박해

서종태 박사 (호남교회사연구소)

제5강 (6월24일)

병인박해

조현범 박사 (한국교회사연구소)

 ▣ 한국순교자현양위원회

  한국 천주교 순교자들의 신앙과 순교 정신을 이어받고, 오늘을 사는 신앙인들에게 신앙의 모범을 제시하며, 이와 관련된 순교자 현양 사업을 추진한다는 목적 아래 1946년 9월16일에 설립되었다.

ㆍ역대 위원장

초대 (1983. 6~1984. 7) 경갑룡 주교 / 2대 (1985. 4~1989. 2) 김옥균 주교 
3대 (1989. 2~1990. 9) 김수창 신부 / 4대 (1990. 9~1995. 3) 최용록 신부
5대 (1995. 3~2002. 2) 배갑진 신부 / 6대 (2002. 2~2003. 11) 김수창 신부 
7대 (2003. 11~현재) 최창화 몬시뇰

ㆍ주요사업

1. 순교자 현양 운동

·성지순례 및 순교 영성의 활성화 
·성지순례 안내자 교육 및 봉사자 양성

2. 시복시성 운동

·순교자에 대한 기도 운동 추진 
·시복시성 기도 운동 
·신유박해 관계 자료 및 성지의 교육·홍보

3. 성지 개발 및 보존

·각 교구 성지간 유기적 협력과 성지 관리 
·성지 순교자 현양탑 및 성지 환경 조성

4. 순교자 정신 현양

·순교자현양회 합창단 대외 활동 
·순교자 현양 및 신심미사의 지속적 봉헌

5. 김대건 성인 장학회 운영

·김대건 성인 장학기금 조성 
·김대건 성인 장학금 지급 규모 확대 
·아시아 선교를 위한 연구 및 교류

<끝>

- 서울대교구 문화홍보국 원미영



76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