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1일 (금)
(백) 성 알로이시오 곤자가 수도자 기념일 너의 보물이 있는 곳에 너의 마음도 있다.

영화ㅣ음악 이야기 영화이야기ㅣ음악이야기 통합게시판 입니다.

멘델스존 교향곡 2번 '찬송가 Lobgesang' - Claudio Abbado│낭만파 전기

스크랩 인쇄

이강길 [u90120] 쪽지 캡슐

2008-05-18 ㅣ No.9981

Symphony No.2 in B ♭major, Op.52 - "Hymn of Praise"

멘델스존 교향곡 2번 '찬송가 Lobgesang'

Felix Mendelssohn (1809- 1847)
1. Sinfonia - 2. Allergo moderato maestoso
 
Kompositör : (Jakob Ludwig) Felix Mendelssohn (1809 - 1847)
Date Written : 1840
Inspelningsdatum : 1985

Dirigent : Claudio Abbado
Orkester/Ensemble : London Symphony Orchestra
Orkester/Ensemble : London Symphony Chorus (amateur) Choir
Main Performer : Elizabeth Connell (Soprano), Hans-Peter Blochwitz (Tenor), Karita Mattila (Soprano)
Opera Part(s): Elizabeth Connell, Hans-Peter Blochwitz, Karita Mattila
Inspelningsplats: Walthamstow Town Hall, London
교향곡 [찬송가](Lobgesang) 제2번 B♭장조. 작품 52.
이 교향곡 제2번은 3인의 독창자와 혼성합창을 곁들인 교향 칸타타다. 이 [찬송가]의 스코어에 멘델스존은 마르틴 루터의 다음과 같은 말을 기록해 놓았다고 한다. 또한 이 곡의 가사로 루터가 독일어로 번역한 성경에서 택했다고 한다. "나는 예술의 행위를 주신 주님께 봉사하는 가운데 모든 예슬을, 특히 음악을 발견 창작해 내려는 것이다." 1840년 6월 25일에 멘델스존 자신의 지휘로 라이프찌히의 성 토마스 교회에서 초연되었고 연주시간은 약 70분 정도다.
- 악기 편성 : 소프라노 독창 2, 테너 독창 1, 혼성 합창, 플루트 2, 오보 2, 클라리넷 2, 바순 2, 혼 4, 트럼펫 2, 트롬본 3, 팀파니, 현5부.
Symphony No.2 in B ♭major, Op.52 - "Hymn of Praise"
[제1부] 신포니아 Sinfonia (제1번)
1. 1. Sinfonia Maestoso con moto
제1악장 : Maestoso con moto Allegro.
마에스토소 콘 모토 부분은 서주로 B♭장조 4/4박자이고 알레그로의 주요부는 B♭장조 3/4박자로 소나타 형식.
 
2. 1. Sinfonia Allegretto un poco agitato
제2악장 : Allegro un poco agitato.
마단조. 6/8박자. 자유로운 3부 형식.
 
3. 1. Sinfonia Adagio
제3악장 : Adagio deligioso
라장조 3/4박자. 3부 형식.
 
[제2부] 합창(제2번 - 제10번)
제2번 : Allegro moderato maestoso
4. 2. "Alles was Odem hat, lobe den Herrn" - "Lobe den Herrn, meine Seele"
"호흡이 있는 자마다 주님을 찬양하라. 할렐루야!
현을 울려 주님을 찬양하고 너희들의 애정으로 주님을 찬양하라.
모든이들은 거룩한 이름을 드높일지어다.
나의 마음이여,  나의 모든 것이여, 주님을 찬양하라."
 
5. Molto più moderato ma con fuoco:"Lobe den Herrn,... meine.
 
6. 3. "Saget es, die ihr erlöst seid"
제3번 : 테너의 레치타티보와 아리아.
레치타티보 : "너희는 주님에 의해 구원되었다고 외쳐라."
아리아 : "주님은 우리들의 눈물을 씻어 주시고 슬퍼하는 자를 위로하신다."
7. 3. "Er zählet unsre Tränen"
제3번 : 테너의 레치타티보와 아리아.
레치타티보 : "너희는 주님에 의해 구원되었다고 외쳐라."
아리아 : "주님은 우리들의 눈물을 씻어 주시고 슬퍼하는 자를 위로하신다."
8. 4. "Sagt es, die ihr erlöset seid"
제4번 :  합창.(A tempo moderato)
"너희는 주님에 의해 모든 환란에서 구원을 받았다.
 주님은 필요할 때에 우리의 눈물을 헤아리신다."
9. 5. "Ich harrete des Herrn"
제5번 :  소프라노 2중창과 합창.(Andante)
"나는 주님을 간절히 기다렸고,
 주님은 나에게 호의를 베푸사 나의 간청을 들어 주셨도다.
 주님을 믿는 자들은 행복할지어다."
10. 6. "Stricke des Todes hatten uns umfangen"
제6번 : 테너 독창과 소프라노의 레치타티보. (Allegro un poco agitato)
테너 : "죽음의 굴레는 우리를 에워싸고,
           지옥의 공포는 우리를 덮쳐오며,
           우리는 어둠속을 방황하고 있었다."
           소프라노 레치타티보 : "밤은 사라져 버렸도다."
11. 7. "Die Nacht ist vergangen"
제7번 : 합창.(Allegro maestoso e molto vivace)
"어둠은 사라졌도다.
 어둠 속의 일은 그만두자.
 광명의 무기를 잡자."
12. 8. "Nun danket alle Gott" - "Lob, Ehr' und Preis sei Gott"
제8번 : Choral(루터파의 유명한 코랄)
제1부 : "이제야 모두는 마음과 입과 손으로 하느님께 감사를 드릴 것이다."
제2부 : "하느님께 찬양과 영광과 영예를 드리자"
13. 9. "Drum sing ich mit meinem Liede ewig"
제9번 : 소프라노와 테너의 2중창.(Andante sostento assai)
"이러므로 나는 나의 노래로 신실한 하느님의 찬미를 영원히 노래하도다.
 그리고 하느님이 나에게 베풀어 주신 모든 은혜를 감사드린다."
14. 10. "Ihr Völker, bringet her dem Herrn Ehre und Macht"
제10번 : Final Chorus.(Allegro non troppo)

"너희들 종족들아, 왕이여, 땅이여, 하늘이여, 주님께 영광과 권능 드리어라.
 모든 사람은 주님께 감사하고 그의 영광을 찬양하라.
 호흡이 있는 자들은 다 주를 찬양하라.
 할렐루야!  주를 찬양하라!"
     
October 1966 : Italian conductor Claudio Abbado
     
클라우디오 아바도(1933.6.26 ~ )
20세기 후반에서 21세기 전반까지 세계 음악계를 이끌어 온 위대한 지휘자들중 한사람인 클라우디오 아바도는 지난 반세기 동안 세계 최고의 자리에서 유수의 오케스트라들을 이끌어 왔다. 말러, 슈베르트, 라벨, 차이콥스키, 멘델스존 그리고 베토벤 교향곡 전곡을 포함, 다수의 녹음들과 세계 음악 팬을 사로잡았던 많은 콘서트들은 그가 지휘자로 루었던 업적과 명성을 대변하고 있다.
1933년 6월23일에 아바도는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미켈란젤로 아바도 (Michelangelo Abbado)는 바이올리니스트였으며 아바도와 그의 형은 아버지로부터 피아노와 음악수업을 처음으로 받았다. 1955년, 밀라노 음악원에서 교육을 받던 아바도는 피아노 전공 학위를 받고 졸업하였다. 음악원 재학중 아바도는 안토니오 보토(Antonio Votto)에게 지휘법을 배웠고 같은 해, 잘츠부르크에서 프리드리히 굴다(Friedrich Gulda)와 함께 피아노를 공부했다.
1956년부터 1958년까지 3년동안 아바도는 빈 음악 아카데미에서 한스 스바로브스키(Hans Swarowsky)에게 지휘법을 배웠다. 1958년, 트리에스테에서 지휘자로 데뷔하였다. 같은 해, 미국 탱글우드의 쿠세비츠키(Koussevitsky) 경연대회에서 우승하였다. 이를 계기로 아바도는 파르마 음악원의 교수직뿐만 아니라 지방의 여러 오페라 하우스 그리고 오케스트라와 계약을 맺었으며 1960년에는 라 스칼라(La Scala) 데뷔 무대를 가졌다.
1963년 디미트리 미트로풀로스(Dimitri Mitropoulos)상을 수상과 함께 뉴욕 필하모닉에서 5개월간 일할 기회를 얻게 되는데, 그 해 4월 7일 아바도는 공식적인 미국 데뷔무대를 가졌다. 1965년에는 빈 필하모닉(Wiener Philhamoniker)을 지휘하면서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에 데뷔하였다. 이듬 해, 1966년에는 처음으로 베를린 필하모닉을 지휘하였으며 1967년에는 다시 빈 필하모닉의 기부금 콘서트 시리즈로 빈 데뷔 무대를 가졌다.
1968년부터는 고향으로 돌아와 라 스칼라에서 레지던트 디렉터를 거쳐 1971년 정식으로 음악감독으로 임명되었다. 특히. 아바도는 재임 기간중 전통 이태리 오페라뿐만 아니라 오케스트라 레퍼토리를 연주하기 위해 "오케스트라 델라 스칼라(Orchestra della Scala)"를 조직하였다. 그는 이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면서 쉔베르그, 노노, 리게티 그리고 스톡하우젠 같은 현대음악 작품들의 뛰어난 해석으로 많은 호평을 받았다.
1971년, 빈 필하모닉의 상임 지휘자로 임명되었으며 1973년에는 빈 필하모닉으로 부터 "명예의 반지(Ring of Honour)"를 수여 받았다.
1978년에는 유럽 공동체 청소년 관현악단(European Union Youth Orchestra)설립하였으며 이듬 해, 1979년에는 10여년 동안 꾸준히 관계를 지속해왔던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상임 지휘자로 임명되었고 1988년까지 9년동안 음악감독으로 재직하였다.
1982년부터 1986년까지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에 객원 지휘자로 초빙되었다. 이 시기에 아바도는 1985년, 구스타프 말러에 대한 음악적 공헌으로 국제 구스타프 말러 협회로 부터 메달을 수여 받았다. 한편 1986년에는 "구스타프 말러 청소년 교향악단(Gustav Mahler Jugend Orchestra)" 와 "유럽 챔버 오케스트라(Chamber Orchestra of Europe)"를 조직하여 예술고문으로 활동하였다.
1986년, 아바도는 빈 국립 오페라에서 음악 감독직을 맡았으며 빈 시의 총 음악 감독직에 임명되는 영예도 누렸다. 특히. 재임기간중 아바도는 1988년에 현대음악 페스티발인 "빈 모던(Wien Modern)"의 첫 주최를 담당하였으며 지금도 매년 아바도의 감독 하에 이 축제는 열리고 있다. 1989년, 아바도는 카랴안의 뒤를 이어 베를린 필하모닉의 제5대 음악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1991년에는 빈 국립 오페라를 사임하였다. 하지만 젊은 음악가들에게 수여하는 "빈 상(the Vienna Prize)"를 재정하여 빈 시와의 관계를 지속하여 오고 있다.
1992년에는 독일의 가장 영예로운 독일 시민 공로상을 수상 하였다. 같은 해, 첼리스트 나탈리아 구트만(Natalia Gutman)과 함께 베를린 페스티발 기간중 고전과 현대 실내악 콘서트에서 전문 음악가들과 재능있는 젊은 연주자들이 함께 연습하고 공연할 수 있는 "Berllner Begegnugen" 을 만들었다. 1994년, 또 다른 카라연의 후임직인 "잘츠부르크 부활절 페스티발(Salzburg Easter Festival)"의 예술감독으로 취임하였다. 같은 해, 뮌헨 "에른스트 폰 지멘스 상(Ernst von Siemens Prize)"과 "그래미상(Grammy Award)"을 각각 수상 하였다.
2002년, 잘츠부르크 부활절 페스티발의 새 작품 바그너 "파르지팔(Parsifal)"에서 베를린 필하모닉을 지휘하였고 이를 끝으로 페스티발 예술감독직과 베를린 필하모닉의 음악감독직을 사임하였다. 2003년에는 말러 챔버 오케스트라를 이끌고 이탈리아와 루체른 페스티발(Lucerne Festival)에서 콘서트를 가졌다.
2004년이후 2005년까지 아바도는 베를린 필하모닉, 말러 챔버 오케스트라 그리고 루체른 페스티발 오케스트라와 바덴바덴, 이탈리아등 유럽등지에서 말러를 비롯하여 베토벤, 브루크너, 바그너의 작품들을 연주하였다.
2006년 72세의 아바도는 2000년부터 발견된 위암과 투병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잘츠부르그의 콘서트와 "펜테코스트 페스티발(Pentecost Festival)" 일정도 모두 취소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2007년 11월 페르골레지 탄생 300주년 연주회에서 복귀하였다. <슈베르티아데>
     

잘생긴 꾀꼬리 꽃미남 리차드강 어리버리 돈키호테.

     


74 4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