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9일 (토)
(홍)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너는 베드로이다. 나는 너에게 하늘 나라의 열쇠를 주겠다.

우리들의 묵상ㅣ체험 우리들의 묵상 ㅣ 신앙체험 ㅣ 묵주기도 통합게시판 입니다.

하루하루를 꽃밭으로 장식하십시오

스크랩 인쇄

양승국 [ystefano] 쪽지 캡슐

2006-11-01 ㅣ No.21981

11월 2일 위령의 날-마태오 5장 1-12절


“행복하여라,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 하늘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하루하루를 꽃밭으로 장식하십시오>


요즘 한창 뜨고 있는 ‘인생수업’이란 책을 읽고 있습니다. 호스피스 운동의 선구자인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와 그녀의 제자 데이비드 케슬러는 죽음 직전의 사람들 수 백 명을 인터뷰했습니다.


죽음을 목전에 둔 사람들이 남긴 이야기들의 공통점은 하나같이 ‘살아있음을 가장 큰 축복으로 여겨라, 하루하루를 꽃밭으로 장식하라, 매일 매일을 충만한 기쁨으로 엮어가라’였습니다.


죽음을 앞둔 사람들이 가장 후회하는 것은 ‘삶을 그렇게 심각하게 살지 말았어야 했다’는 것이라고 합니다. 우리 모두는 별의 순례자이며, 단 한 번의 즐거운 놀이를 위해 이곳에 왔음을 상기시킵니다. 우리의 눈이 찬란하지 않다면, 어떻게 이 아름다운 세상을 반영할 수 있겠냐면서 이렇게 외칩니다.


“지금 이 순간을 살아가십시오.”


“삶에서 가장 큰 상실은 죽음이 아닙니다. 가장 큰 상실은 우리가 살아 있는 동안 우리 안에서 어떤 것이 죽어버리는 것입니다.”


“삶의 마지막 순간에 간절히 원하게 될 것, 그것을 지금 하십시오.”


얼마나 열심히, 그리고 후회 없는 삶을 살았으면 자신에게 다가오던 죽음을 바라보던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은하수로 춤추러 갈 거예요. 그곳에서 노래하며 춤추며 놀거예요.”


2004년 8월, 78세의 나이로 별세한 저자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의 장례식 때의 일입니다. 두 자녀가 그녀의 관 앞에서 작은 상자를 열었습니다. 상자 안에서는 한 마리의 호랑나비가 날아올랐습니다. 동시에 조문객들이 미리 받은 종이봉투에서도 수많은 나비들이 일제히 날개를 펄럭이며 파란하늘로 날아올랐습니다.


오늘은 위령의 날입니다. 말마디 그대로 우리보다 앞서 이 세상을 떠난 영혼들을 위해 기도하고, 그 영혼들이 하느님 자비의 품안에 안착하게 되기를 간구하는 날입니다.


아울러 언젠가 우리의 몫이 될 죽음을 묵상하면서, 겸손하고 성실하게 이승의 삶을 살아가겠다고 다짐하는 날입니다.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의 생각대로 이승의 삶이 다가 아닙니다. 언젠가 우리의 육신이 소멸되는 그 순간, 우리의 영혼은 한 마리 어여쁜 나비처럼 영원한 하느님 자비의 품안으로 날아오르게 될 것입니다.


결국 우리가 그렇게 두려워하는 죽음은 다름 아닌 영원한 아버지의 집으로 건너가는 생명의 다리입니다. 그 순간은 우리의 인간적 나약함과 그로 인해 빚어졌던 그 숱한 과오들, 그 많은 죄악들이 주님 사랑 안에 말끔히 씻어지는 순간이 될 것입니다.


더 이상의 방황도, 더 이상의 고통도, 더 이상 눈물도 없게 되는 그 순간, 갖은 속박으로부터 훌훌 털고 일어선 우리는 꿈에 그리던 대 자유를 얻어, 영원한 아버지의 나라로 훨훨 날아가게 될 것입니다.



1,180 6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