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9일 (토)
(홍)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너는 베드로이다. 나는 너에게 하늘 나라의 열쇠를 주겠다.

대통령과 고등어

스크랩 인쇄

신성자 [socho] 쪽지 캡슐

2013-08-07 ㅣ No.2620



써핑하다 눈에 들어온 글인데
홍성태님이 쓰신글이랍니다.

방언과 묵언수행에서 빵 터졌습니다. 







 

한밤중에 목이 말라/ 냉장고를 열어 보니/한 귀퉁이에 고등어가 소금에 절여져 있네/

어머니 코 고는 소리/ 조그맣게 들리네/ 어머니는 고등어를 구워주려 하셨나보다/

나는 내일 아침에는 고등어 구일 먹을 수 있네....

 

 

그룹 산울림의 등장은 내게 충격이었다.

대부분의 대중가요가 사랑을 주제로 한 것들인데 비해

산울림은 우리가 일상에서 만나는 평범한 소재로 아름다운 노랫말을 만들었으니까.

산허리를 구름이 휘감고 있다거나-“산할아버지 구름모자 썼네

위에서 언급한, 냉장고에 절인 고등어가 들어 있다는 식의 얘기도 훌륭한 노래가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산울림은 잘 보여줬다.

즉 산울림은 대중가요의 지평을 거의 무한대로 확장했다고 할 수 있다.

 

 

박근혜 대통령의 당선은 내게 충격이었다.

원래 정치인은 말로 자신을 드러내는 존재라고 알고 있었는데,

박대통령은 말을 안하고서도 맨 윗자리까지 올라갈 수 있다는 걸 보여줬으니까.

작년까지는 말실수라도 하면 대통령 되는 데 지장이 있으니까 그러겠지하고 생각했지만,

대통령에 당선된 후에도 여전히 말씀을 안하시는 걸 보면 기이하다는 생각이 든다.

어차피 5년 임기는 보장됐고, 재출마는 헌법상 불가능한데

남들이 무식하다고 놀리면 또 어떤가?

그럼에도 박대통령은 세간의 이슈인 국정원 댓글사건에 대해서도 말을 아끼는 등

웬만한 사안에는 다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는데다,

취임 100일 기자회견도 가뿐히 건너뛰었다.

더 놀라운 건 그에 대한 지지율이 65%라는 점.

말을 안한다는 게 오히려 신비감을 증폭시켜 맹목적인 지지를 이끌어내는 게 아닌가 싶기도 하다.

이걸 보면 앞으로 대통령이 되려면 묵언수행을 하는 게 어떨까,는 생각까지 든다.

박대통령이 정치인의 새로운 지평을 연 건 분명한 사실이지만,

내가 해봐서 아는데같은 말로 임기 초부터 수많은 화제를 제공했던 이명박 전 대통령이 갑자기 그리워진다 (내게 이런 날이 올지 미처 몰랐다).

 

 

최근 박대통령의 휴가지 기사는 내게 충격이었다.

원래 기사라는 건 뭔가 사회적으로 의미가 있을 때 내보내는 거라고 알고 있었는데,

박대통령이 모래밭에 글자를 쓰는 것도 어엿한 한 편의 기사가 될 수 있다는 걸 우리 언론들이 보여줬으니까.

모래밭에 쓴 글귀도 국정원 댓글 미안해같은 의미있는 내용이라면 모를까,

저도의 추억이라는 지극히 개인적인 얘기를 쓴 게 왜 기사가 되는 걸까?

청와대는 경호 문제를 이유로 휴가 일정만 알렸는데, 평소 국민과의 소통을 강조해온 박 대통령이 직접 휴가지와 사진을 공개한 것으로 보입니다는 설명도 어이가 없다.

묵언수행 중인 대통령이 모래밭에 글씨 좀 썼다고 소통이라면,

이전 대통령들은 소통을 넘어서 방언이 터진 거냐?

저도의 추억을 비중있게 다룬 언론일수록 국정원 댓글사건에 대해 별 보도를 안하는 걸 보면,

아무래도 우리 언론이 기사작성에 있어서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는가보다.

소통을 위해 애쓰시는 박대통령에게 시 한편을 지어 바친다.

 

 

 

제목: 대통령과 고등어

장르: 자유시, 서정시, 칭송시

 

한밤중에 잠이 안와 인터넷을 열어 보니/

저도에 간 대통령이 모래밭에 글씨를 쓰네/

저도의 추억이/대문짝만하게 보이네/

대통령은 유신시대를 그리워하고 있었나보다/

나도 내일 아침엔 끌려가서 맞을 수 있네



59

추천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