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7월 5일 (금)
(홍) 한국 성직자들의 수호자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 너희는 나 때문에 총독들과 임금들 앞에 끌려가 그들과 다른 민족들에게 증언할 것이다.

urban village

스크랩 인쇄

홍승희 [greensborg] 쪽지 캡슐

2008-01-02 ㅣ No.4693

urban village 는 1980년대   후반  찰스 황태자가 이끌었던 urban village group 이 현대의 모더니즘에 대한  반향으로 내놓았던 대안으로 과거의 인간적이고 , 혼합용도를지향하며, 아름다운 경관을 지닌 도시를 구성하는 수단을  통칭해서 정의한 용어다.

urban village 의 특징

urban village 는 다양한  사이즈, 다양한 크기, 다양한 직장, 다양한 기능을 수용하도록 계획하고 있다. 이러한 토지 이용방식은 직주근접을 통한 도시의 활성화와 에너지 절약, 그리고 궁극적으로 커뮤니티의 통합이라는 도시의 활성화와 에너지 절약, , 그리고 궁극적으로 커뮤니티 통합이라는 주장에 근거하고 있다.  주거의 경우에도  임대주택의 비율을  높여 소득계층을 다양화 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는 다양한 인종, 연령, 주거타입을 혼합하도록 하였는데, 계층간의 만남을 통해 서로간의 이해를 도와 커뮤니티 의식을 고취시키고, 민주주의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도록  위한 것이다. 

 urban village 가 제안하고 잇는 도시구조는 주로 보행중심으로 구성되고,  각 가로가 중심공간으로 유연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가로느 구불 구불하여 차량의 속도를 저감시키는 한편, 시각적인 한정수법을 통해 지루하지 않고 친근한 가로경관을 창출하도록 한다.

도시의 중심에 대중교통의 결절점을 위치시킴으로써  인근도시와의 연결성을 높이면서 보행으로 대중교통에 잡근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보행체계는 대체로 방사격자형이 기본이 되며, 빠른시간안에  접근이 가능하면서도 선택과 자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urban village 에서 경제적 지속성의 목표는  1:1의 고용이다. 이것은 주택과  직장의  균형을  맞추고, 도시의  자족성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urban village 의 가장 증요한 특징중의 하나가 세분화된 master plan 이다 이것은  도시를구성하기 위한 지침으로 도시를 하나의 통합된 완결체로서 구성하기 위한 지침으로 크게 infrastructure code,  urban code, architecture code, public code 로 나뉘어 있다.

 그 밖에 환경적 지속성을 추구하기 위한 Environment  Action Plan 이 추가되어 있다.

urban village 의 실현된 사례는 크게 두 개로나뉘어 볼 수 있다. 그 기점이 되느 부분이 파운드 베리인데 3대 지속성- 사회적 지속성, 경제적 지속성, 환경적 지속성 - 의 종합적인   고려 여부가 있다. 

Urban Village 의 Ten Principle

1.  THE PLACE   휴먼 스케일의 친근한 전원 풍경창출

2. HIERARCHY   각각의 건물들의 크기와 위치는 각각의 중요도와 관련

3. SCALE  휴먼스케일의 건물

4. HARMONY 근린과의조화, " STREET RYTHEM"

5 .ENCLOSURE  담장이 있는 정원과 페이방된 공공광장

6. MATERIALS  친근한 지역재료의 사용

7. DECORATION  전통적인 풍부한 디자인

8 ART  건물에 통합된 예술

9 SIGNS & LIGHT  간판과 조명은 경관과 통합되도록 디자인

10. COMMUNITY 주민참여적이고 인간친화적인 환경

 

영국은 우리나라와 땅의  모습도  비슷하죠. 이런 영국이  80년대부터 주민참여적인  지속가능한 도시문화를   만들었다는 것은 참으로 부럽네요 .

 우리의 도시문화가 일부 정책을 만드는 사람들의 이해관계로     즉흥적이고도 근시안적으로  지어진다면   도시를 이루는 전체적 모습과  지속가능한 조화로운    도시,   서민이 살기에   쾌적한 도시 , 지역정서를 읽어 나가는 도시를 만드는 데 따로따로의 묘기에 그치고 말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

   자기 지역에 있는  자연재료들로 가능한 한 집을 지으며   community 안에서의 수익사업은 거주민들을 위한 직업을 제공  하고  주민의 의사참여가  반영되어  지역문화를 만드는데  고려의 대상이 된다는 것.

이렇게 이상적으로는 하지 못하더라도    주민을 완전 무시하면서  공공사업이라며  자기들이 마구 지어놓고도  되려 주민을 이기적이라고 까지  할 수는 없다는거죠 ,. 불과 50cm 의 거리 인데두요 .

이런  주민 참여적이고 배려적인 영국의 도시문화 정책은   피상적인 아름다움과 배려가 아닌 실질적인  참여와  배려,  지역적 정서가  함의된 도시문화 정책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네요 .

   주민 참여적이진 않더라도 주민을 완전히 무시하며  조금의 동의도 없이 이런 시설을   마음데로 지을 수도 없다는 거죠 .

   

 



159

추천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