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묵상ㅣ체험 우리들의 묵상 ㅣ 신앙체험 ㅣ 묵주기도 통합게시판 입니다.
|
양승국 신부님_가난한 사람들이 교회에 와서 상처받는 일이 없도록 배려하십시오! |
|---|
|
오늘은 연중 제33주일인 동시에 세계 가난한 이의 날입니다. 가난한 이들을 무척이나 사랑하셨던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살아생전 얼굴이 그립습니다. 그분에게는 목에 걸린 가시 같은 존재, 아픈 손가락 같은 존재들이 있었는데, 바로 가난한 이들이었습니다. 어쩔 수 없이 고향을 등진 난민들, 이주민들, 재소자들, 환자들, 노인들, 가난한 사람들...
이런 분들을 따뜻하게 품어 안고 동반하려는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의지가 정말이지 대단했습니다. 그분께서는 가난한 이들을 총애하시는 당신의 의지를 만천하에 드러내셨는데, 그것을 바로 오늘, 연중 제33주일을 세계 가난한 이의 날로 정한 것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님께서 2015년 미국을 방문하셨을 때 기억이 생생합니다. 미국 의회 연설에서 강대국의 횡포를 신랄하게 지적하셨습니다. 야만적인 자본주의, 고삐 풀린 자본주의의 횡포로 인한 부의 불균형에 대한 개선을 강하게 촉구하셨습니다.
그런 와중에도 미국 상하원들은 마음 속으로 큰 기대를 하고 있었습니다. 아마 연설이 끝나고 교황님과 함께 하는 만찬이 준비되지 않을까? 식사 후에는 교황님과 찍은 ‘인생 사진’ 한 장 건질 수 있지 않을까?
그러나 프란치스코 교황님은 연설이 끝난 후 점심 약속이 있다면서 서둘러 자리를 떴습니다. 대체 어떤 사람과 점심 약속이 되었을까? 미국 대통령? 아니면 미국 주교단? 모두 아니었습니다.
그분께서는 성 패트릭 성당으로 자리를 옮겨 300여명의 노숙자들과 함께 간소한 점심 식사를 나누었습니다. 자신이 작은 이들의 사목자요 동반자임을 만천하에 드러내셨습니다.
함께 식사를 나눈 노숙자들을 만나 이렇게 위로했습니다. “여러분, 힘내십시오. 저도 이민자 가족입니다. 어떤 어려움에도 낙담하지 마십시오.”
그리고는 또 다른 곳으로 장소를 옮기셨는데, 그곳은 교도소였습니다. 거기서 재소자들과 만나 시간을 보내시면서 이렇게 격려했습니다. “여러분, 걷다 보면 누구나 발이 더러워지기 마련입니다. 이곳에 머무시는 동안 더러워진 발을 깨끗하게 잘 씻기 바랍니다.”
이혼 후 재혼한 가정과 그 자녀들에 대한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사목적 배려에 대해 노골적으로 반기를 드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교황님은 단호하게 말씀하셨습니다.
“실수와 죄악은 단죄돼야 하지만, 잘못을 저지르는 사람은 이해받고 사랑받아야 합니다. 하느님의 자비를 바탕으로 현대 가정의 실제 삶과 현실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들의 잘못을 단죄하기보다는, 이혼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가정들을 위해서 교회가 무엇을 해줄 수 있을 것인가 고민합시다.”
‘세계 가난한 이의 날’을 맞이 하는 우리는 오늘 주변을 유심히 한번 살펴봐야겠습니다. 이 시대 가장 가난한 이들은 누구인지 잘 살펴봐야겠습니다. 이 시대는 가난에 대한 개념이 점점 확장되고 있습니다. 물론 경제적 가난으로 고통받는 사람은 당연히 가난한 이들입니다. 힘겹게 살아가는 난민들, 이주민들 역시 가난한 이들입니다.
그러나 심리적, 정신적 가난으로 고통 받고 있는 사람들 역시 가난한 이들입니다. 아무런 기쁨이나 희망이 없이 무기력하게 살아가는 사람들 역시 가난한 이들입니다. 철저하게도 자신이라는 울타리 안에 갇혀 있는 사람들 역시 가난한 이들입니다. 삶의 의미나 가치를 상실한 사람들 역시 가난한 이들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님께서 우리에게 남기신 수많은 명언들 가운데, 가장 제 마음을 흔들었던 말씀입니다.
“가난한 사람들은 우리 교회의 보물입니다. 가난한 사람들이 교회에 와서 상처받는 일이 없도록 배려하십시오. 가난한 사람들 안에 현존하시는 예수 그리스도를 발견하십시오.” “우리 교회는 야전병원입니다. 그 안에서 성체는 완전해진 자들에 대한 포상이 아니라 병자들을 위한 치료약입니다.”
양승국 스테파노, 살레시오회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게시판 운영원칙
Help Des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