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묵상ㅣ체험 우리들의 묵상 ㅣ 신앙체험 ㅣ 묵주기도 통합게시판 입니다.
|
[연중 제33주간 수요일] |
|---|
|
[연중 제33주간 수요일] 루카 19,11ㄴ-28 "내가 올 때까지 벌이를 하여라."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은 ‘미나의 비유’를 들려주십니다. 어떤 귀족이 왕권을 받아 오려고 먼 고장으로 떠나면서, 종 열 사람에게 각각 한 미나씩 나눠주며 이렇게 말하지요. “내가 올 때까지 벌이를 하여라.” 여기서 ‘미나’라는 화폐단위는 ‘1 탈렌트’의 60분의 1에 해당합니다. 1 탈렌트는 한 사람의 노동자가 6,000일 동안 일해야 벌 수 있는 금액이니 그 60분의 1이면 오늘날 우리 화폐 가치로 대략 천만원 정도 되는 금액이지요. 탈렌트만큼 크진 않지만, 결코 적지 않은 돈입니다.
그런데 탈렌트나 미나는 단순히 화폐 단위를 가리키는 것이 아닙니다. 탈렌트의 비유에 나오는 탈렌트가 하느님께서 각 사람마다 그 능력에 따라 다르게 주신 재능, 재물, 시간 등의 조건을 가리킨다면, 오늘 비유에 나오는 미나는 하느님께서 모든 사람에게 공평하게 나누어 주시는 ‘말씀’의 씨앗을 가리키지요. 그리고 그분의 일꾼인 우리는 각자 받은 말씀의 씨앗을 얼마만큼의 정성과 노력으로 가꾸는가에 따라 그만큼의 결실을 맺게 되는 겁니다. 즉 ‘열 미나’만큼의 결실을 맺든, ‘다섯 미나’만큼의 결실을 맺든 그건 다 ‘자업자득’이니 다른 이를 시기 질투할 이유도, 하느님을 원망할 명분도 없습니다.
그런데 오늘 비유에 나오는 마지막 종은 그 미나를 가지고 ‘벌이’를 하라는 주인의 뜻을 따르지 않고, 그것을 수건으로 감싸서는 보이지 않는 곳에 꽁꽁 감춰둡니다. 그리고는 냉혹한 주인이 “가져다 놓지 않은 것을 가져가시고 뿌리지 않은 것을 거두거 가시기에” 두려워서 그랬다는 핑계를 대지요. 참으로 이상합니다. 분명 주인으로부터 ‘한 미나’를 받았음에도, 그는 왜 자신이 주인으로부터 아무것도 못 받았다고, 주인이 아무 것도 안줬으면서 뺏어가려고만 한다고 말할까요? 아마 둘 중 하나일 겁니다. 주인이 준 미나가 자신이 원하던 만큼이 아니거나, 아니면 ‘미나’의 본질과 가치 자체를 아예 모르거나.
그런 그의 모습은 신앙생활하는 우리와 닮아 있습니다. 우리는 하느님으로부터 말씀의 씨앗이라는 선물을 받았지만, 하느님께서 바라시는 바를 반드시 현실로 이루시는 그 말씀의 힘을 제대로 알려고도, 본격적으로 믿어보려고도 하지 않지요. 그러면서 신앙생활을 열심히 하는데도 무엇 하나 이득 되는 게 없다고 투덜거립니다. 그리스도교 신자라는 이유로 해야 할 일도 많고 내놓아야 할 것도 많아 오히려 손해만 보는 것 같다고, 이럴 줄 알았으면 괜히 세례받았다고 불평 불만을 잔뜩 늘어놓습니다. 신앙생활의 참된 기쁨과 보람을 얻기 위해 아무런 노력도 하지 않으면서, 그것을 얻지 못한 탓을 하느님께 돌리는 모습이지요. 하지만 그런 마음으로 신앙생활을 해서는 내가 하느님의 자녀로서 누릴 수 있는 행복과 영광을 시기와 질투, 원망과 비난이라는 부정적인 마음에 죄다 빼앗기고, 깊은 슬픔과 절망에 빠질 뿐입니다. 그러니 나중에 후회하지 말고 지금부터라도 하느님께서 나에게 주신 말씀의 씨앗을 순명과 실천으로 잘 가꾸어 그 풍성한 결실을 벌어들여야겠습니다.
* 함 승수 신부님 강론 말씀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게시판 운영원칙
Help Des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