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22일 (토)
(홍)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 기념일 하느님은 죽은 이들의 하느님이 아니라 산 이들의 하느님이시다.

우리들의 묵상ㅣ체험 우리들의 묵상 ㅣ 신앙체험 ㅣ 묵주기도 통합게시판 입니다.

요즘 60대 사이에 퍼지는 무서운 현상

스크랩 인쇄

김중애 [ji5321] 쪽지 캡슐

2025-11-21 ㅣ No.186414

 

요즘 60대 사이에 퍼지는 무서운 현상

돈이 있어도..." 요즘 60대

사이에 퍼지는 무서운 현상
요즘 60대들은 과거보다

훨씬 부유해졌다.

돈도 있고, 집도 있고,

젊을 때보다 여유도 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그들의 표정엔

여유 대신 공허가 자리한다.
돈이 있는데도 행복하지 않다는 사람들,

지금 한국의 60대 사이에 조용히

번지고 있는 ‘무서운 현상’이다.
1. 돈이 있어도 쓸 데가 없다.
자식들은 다 커서 따로 살고,

친구들은 건강 문제로 모이기 어렵다.

여행을 가도, 밥을 먹어도

같이할 사람이 없다.
돈을 써도 감정이 채워지지 않으니

소비가 의미를 잃는다.

결국 ‘돈이 있는데도 외로운

세대’가 되어버린다.
2. 소통의 끈이 끊어진다.
퇴직과 함께 사회적 관계는

급격히 줄어든다.

젊을 땐 직장과 사회가

연결고리였지만,

은퇴 후엔 그 관계가 사라진다.
대화의 주제도, 만날 이유도

점점 사라진다.

그래서 집 안에서만

머물며 세상과 단절된다.

외로움은 조용히 그러나 확실히

사람을 병들게 만든다.
3. 돈이 불안의 원인이 된다.
아이러니하게도 돈이 있을수록

걱정이 늘어난다. 혹시 사기당할까,

자식이 돈을 노릴까,

건강이 나빠지면 어떡하나.
돈이 많을수록 마음은

오히려 불안해진다.

돈은 불행을 막을 수는 있지만,

행복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결국 돈이 마음의 주인이 되어버린다.
4. 삶의 이유를 잃는다.
젊을 때는 ‘가족을 위해’ 일했지만,

이제는 누구를 위해

살아야 할지 모른다.

돈은 남았지만, 목표가 사라졌다.
그래서 아침에 눈을 떠도

이유가 없고, 저녁이 되어도

기다림이 없다.

진짜 빈곤은 통장 잔고가 아니라,

의미의 부재에서 시작된다.
요즘 60대의 가장 큰 위기는

돈이 없는 게 아니라,

마음이 텅 빈 것이다.

돈보다 더 중요한 건 관계와 의미,

그리고 하루를 버티게 하는

‘작은 이유’다. 결국

노후의 품격은 재산이 아니라,

마음의 온도로 결정된다.

돈으로 행복을 살 수는 없지만,

따뜻한 하루는 스스로 만들 수 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70 0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