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16일 (목)
(백) 부활 제7주간 목요일 이들이 완전히 하나가 되게 해 주십시오.

인터넷의 역사 2

스크랩 인쇄

정종덕 [naneuri] 쪽지 캡슐

1999-01-30 ㅣ No.29

전에 올린 인터넷의 역사 1에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2. World Wide Web(WWW)

2.1 WWW가 등장한 배경

인터넷의 확장은 실로 눈부시다 할 수 있으며 (다음의 그림을 참조) 이로 인한 사용자 층의 급격한 증가로 말미암아 부분적인 한계에 다다르게 되면서, 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는 새롭게 개선된 인터넷 환경을 연구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환경에서 연구자들은, 전세계에 흩어져 있는 사람들이 인터넷 상에서 쉽게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뿐만 아니라 중요한 데이터의 경우에는 다른 어떤 정보요소에 쉽사리 링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들을 추구해왔다.(Kevin Hughes, 『Entering the World-Wide Web: A Guide to Cyberspace』, Honolulu Community College, September 1993)


http://www.mids.org/mapsale/world/index.html

WWW는 유럽의 CERN(The European Laboratory for Particle Physics)에서 엄청난 양의 연구정보들을 효율적으로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1989년 3월에 Tim Berners의 제안에 의해 연구가 시작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이에 대한 첫 번째 제안서는 1990년 11월에 나왔고 다음과 같은 문서이다.
http://www.w3.org/hypertext/WWW/Proposal.html

Tree 구조의 메뉴방식으로 이루어진 gopher가 문서 이용에 불편함을 주는데 비해 Hypertext를 기반으로 이루어진 WWW는 문서 활용의 편리성을 한껏 제공해주게 되었다. 그러다 미국의 NCSA에서 Mosaic이란 것으로 사용자 환경을 편리하게 제공하자 이의 사용자는 가히 폭발적인 증가를 보이기 시작했다. NCSA에서 Mosaic을 만들었던 몇몇이 따로 독립하여 회사를 만들었고 여기에서 만든 Netscape(Mozilla라고 읽음)는 Mosaic보다 훨씬 빠른 속도와 보다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여 Mosaic을 대체하지 않을까 하는 추측이 대두되고 있다.

2.2 WWW란 무엇인가?

2.2.1 WWW의 주요 특징

  1. WWW(World Wide Web)은 Web, W3, 또는 W3로 표기하기도 하고 불리기도 하는데, 인터넷에 존재하는 일반 텍스트 형태의 문서, 그림, 음성, 오디오, MPEG 형식의 화상 등의 각종 데이터를 URL을 이용하여 하나의 문서 형태로 통합적으로 제공해준다.
  2. gopher가 각종 문서들을 Tree 구조에 기반을 두어 메뉴 형식에 따른 선택에 의해 보여주는 것임에 비해, WWW는 선택한 단어에 대한 문서를 보여주고 이 문서 속에서 또 다른 단어를 선택함으로써 그 단어에 대한 문서를 보여주고 하는 과정이 꼬리를 물고 계속 이어진다.
  3. Web의 사용은 telnet을 이용한 remote login의 방법과 browser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가능하다. browser는 문서를 가져와서 보여주며 특정 단어에 대한 링크를 통해 다른 문서를 가져올 수 있게 한다.
  4. browser는 URL의 지정에 따라 http란 WWW 프로토콜과 함께 gopher, ftp, nntp, telnet 등의 기존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archie, finger, wais, veronica 등은 게이트웨이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음의 그림을 참조하면 된다.

    http://www.rpi.edu/Internet/Guides/decemj/images/cyber.gif

  5. 문서는 hypertext로 되어 있고 이 문서에는 특정 단어들에 대해 관련된 다른 문서를 지정하는 포인터가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더 자세한 정보에 대한 선택을 할 수 있게 한다. 이의 기본적인 형태는 정상적인 텍스트 문서와 같다.
  6. hypertext 문서는 다른 문서들에 대한 포인터만이 아니라 음성, 화상, 이미지 등과 같은 다른 미디어에 대한 포인터도 함께 가지고 있으며 선택에 의해 해당 미디어를 서비스 해준다. 이 때문에 이 문서를 hypermedia 문서라 하기도 한다.

1.2.2 WWW/gopher/wais의 비교

이 절은 다음의 두 가지 문서에 근거하고 있다.
Kevin Hughes, 『Entering the World-Wide Web: A Guide to Cyberspace』
http://sunsite.unc.edu/boutell/faq/www_faq.html

(1) 같은 점

모두 Client/Server 모델을 이용하고 있다. 즉, 서버는 다른 컴퓨터가 요청하는 문서를 제공해줄 목적으로 컴퓨터 상에서 동작하고 있는 프로그램이며, 클라이언트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주고 서버에게 문서를 요청하고 받은 문서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2) 데이터 형태에서의 다른 점

gopher
text 메뉴 방식의 정보 검색도구
메뉴에 표현할 수 있는 것은 화일 이나 디렉토리, index, telnet 등이다.
wais
모든 정보가 인덱스 형태로 보이고 검색할 수 있게 함.
인덱스로부터 문서를 제공.
WWW
검색이 가능한 hypertext 문서의 형태
gopher의 메뉴는 링크(포인터)의 리스트로 gopher의 문서는 링크가 없는 hypertext 문서로 간주할 수 있으며, wais의 인덱스는 검색할 수 있는 page로 제공되는 문서는 링크가 없는 hypertext 문서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gopher와 wais의 데이터 형태는 WWW가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들을 WWW 상에서 검색할 수가 있다.

2.3 WWW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이 절은 Kevin Hughes의 문서에 (Kevin Hughes, 『Entering the World-Wide Web: A Guide to Cyberspace』) 근거하고 있다. WWW에서는 인터넷의 모든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해줄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는데, 현재 WWW에서 이용 가능한 인터넷 서비스들을 다음과 같다.
gopher에서 제공하는 모든 것
wais에서 제공하는 모든 것
anonymous ftp에서 제공하는 모든 것
archie 서비스
veronica 서비스 (gopher search service)
X.500과 whois의 전체 서비스
finger 서비스
usenet의 모든 것
telnet을 통한 모든 것
hytelnet을 통한 모든 것
hyper-G에서의 모든 것
html 문서로 되어 있는 모든 문서
techinfo 또는 texinfo로 되어 있는 모든 것
man 페이지 형태의 모든 문서

2.4 WWW에서의 주요한 용어들

browser 또는 client
WWW에서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주는 프로그램. Mosaic 또는 Netscape가 그 예가 됨.

hyperlink
hypertext, hypermedia, 또는 다른 미디어 사이의 연결 또는 링크. URL의 형식에 따라 특정 단어에 대해 관련되는 문서를 지정하도록 해놓은 것. 링크 되어 있는 어떤 단어를 선택하여 그에 해당하는 문서를 가져와서 보면, 그 문서 속에 또 다른 여러 단어들이 링크 되어 있다. 그 중의 어느 단어를 선택하면 그에 해당하는 문서를 가져와서 보여주고 이 문서 속에는 또한 여러 개의 hyperlink되어 있는 단어들이 있다.

hypertext
여러 개의 hyperlink되어 있는 단어들과 함께 일반 텍스트로 되어 있는 하나의 문서.

hypermedia
일반 텍스트뿐만이 아니라 음성, 화상, 사진 등과 같은 다른 미디어에 대한 hyperlink를 갖고 있는 hypertext 문서.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SGML은 ISO 8879에 정의되어 있으며 모든 문서가 SGML DTD(Document Type Definition)에 의해 정의될 수 있게 한다. HTML은 이러한 SGML로 정의되고 인터넷 정보의 검색 도구로서의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계속적인 확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다음을 참고하면 된다.
http://sunsite.unc.edu/boutell/faq/www_faq.html
http://etext.virginia.edu/bin/tei-tocs?div=DIV1&id=SG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hypertext를 만드는 수단이며 사용자에게 보여줄 문서의 표현 형식을 문서 내부에 지정할 수 있게 한다.
Markup Language라는 것은 우리가 흔히 쓰는 troff이나 TeX와 같이 문서 중간에 문자나 문장의 형태에 대한 명령어를 삽입하는 형태의 문서 표현 언어이다. 예를 들어 HTML에서

I Love You.

란 것에서 표제어로써 1번 글자 크기로 I Love You.를 표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은 HTML 문서를 browser 화면에 보여줄 때의 모습은 [그림 4]과 같다. 밑줄친 단어가 다른 문서를 가리키는 hyperlink로 되어 있는 단어란 표시이다.

This is a hypertext document.

The following is an example of an inline fig.

This dociment has hyperlinks.

그림 4. HTML 문서의 화면 모습의 예

HTML은 ISO에서 표준화한 SGML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것은 5장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WWW의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hypertext 문서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문서 내에 인터넷에 존재하는 정보나 서비스에 대해 접근 방법, 존재하는 위치, 자료의 이름 및 접속할 포트의 번호를 hyperlink의 형태로 지정할 수 있게 함. 사용할 프로토콜(ftp, telnet, http, news, gopher, file)과 접속할 호스트 이름과 포트 번호, 화일이 있는 곳의 디렉토리 위치, 그리고 화일의 이름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다음 절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Mosaic
NCSA에서 개발한 대표적인 WWW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구.
WWW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Netscape
Netscape Communications Corporation에서 만든 WWW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구.
Mosaic에 비해 보다 빠른 속도와 보다 편리한 사용자 환경으로 사용자 층이 확산되고 있다.
다음의 장소를 참조하면 된다.
http://www.mcom.com/

2.5 WWW Names and Addresses, URI, URL, URN

[그림 5]와 함께 다음의 문서에 근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ttp://www.w3.org/hypertext/WWW/Addressing/Addressing.html

▣ URL(Universal Resource Identifier)

  1. WWW에서와 같이 인터넷에 존재하는 각종 objects들에 대해 이름과 존재하는 장소를 표현하는 표현 수단.
  2. URL과 URN을 포함하는 개념.
       ┌────────────────────────────┐
       │         ┌─────────┐                         │
       │         │  ftp:            │                         │
       │         │  gopher:         │                         │
       │         │  http:       ┌─┼─────┐             │
       │         │  etc         │  │ urn:     │             │
       │         └───────┼─┘ fpi: ?   │             │
       │                    URLs │              │             │
       │                         └───────┘             │
       │                                  URNs                  │
       └────────────────────────────┘
                                   URIs
    
               그림 5. URI, URL, URN의 상관 관계
    
  3. 관련 자료는 다음에 있다.
    http://www.w3.org/hypertext/WWW/Addressing/URL/URI_Overview.html
▣ URN(Uniform Resource Name)
URL에 해당되지 않는 모든 URI
▣ URL(Uniform Resource Locator)

현재 이용 가능한 URI 가운데 이름보다는 주소를 주로 표시할 목적으로 만든 것인데, 인터넷에 존재하는 자원들의 위치와 접근 방법을 지정하도록 한 것이다. http://www.world.wide.web:8080/ 이와 같은 예에서 :// 앞 부분은 접근 방법, 즉 접속할 때의 해당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에 이어서 다음에 나오는 /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지정 사항을 부여할 수 있다.

사용자 아이디 및 비밀번호
ftp로 접속할 때 활용할 수 있으며 지정하지 않을 때는 anonymous ftp로 접속한다. 사용자 아이디 다음에 :을 두고 비밀번호를 넣고, 이어서 @ 표시로 접속하고자 하는 호스트의 주소를 구별한다. 즉, 다음과 같은 경우이다.
ftp://qkim:*gksrfj2d3@einstein.postech.ac.kr/
여기에서 qkim은 사용자 아이디가 되고 *gksrfj2d3 는 비밀번호가 되고, @ 에 이어 나오는 부분은 접속 호스트 주소가 된다.

인터넷 주소
바로 위의 예에서처럼 접속하고자 하는 호스트의 주소가 나온다. 숫자로 된 IP 주소를 이용해도 된다.

접속 포트 번호
다음의 예를 보자.
http://ship.postech.ac.kr:80/
인터넷 주소 다음에 : 이러한 표시를 지정함으로써 접속하고자 하는 포트의 번호를 지정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WWW 서버가 디폴트로 지정되어 있는 80번을 사용하지 않고 다른 포트 번호를 사용하고 있을 때 반드시 이용해야 하는 것이다. 위의 예에서는 :80과 같이 지정하지 않더라도 기본적으로 80번 포트로 접속을 하므로 아무런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예를 들어 8080포트로 WWW 서버가 설치되어 있으면 위의 예에서 :80은 :8080으로 바뀌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에 뒤이어 나오는 첫 번째 /사이의 지정이 끝나고 나면 다음에는 지정하고자 하는 디렉토리 위치가 나오고, 필요하다면 제일 마지막에 지정하는 문서의 이름이 나온다. 즉, 다음과 같다.
http://einstein.postech.ac.kr/people/qkim/
http://einstein.postech.ac.kr/people/qkim/qkim.home.html

http와 같이 지정하는 접속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ftp or file File Transfer Protocol
gopher The gopher protocol
mailto Electronic mail address
mid Message identifiers for electronic mail
cid Content identifiers for MIME body part
news Usenet news
nntp Usenet news for local NNTP access only
prospero Access using the prospero protocols
telnet Reference to interactive sessions
wais Wide Area Information Servers

위의 접속 방법을 이용하여 지정할 수 있는 URL 예를 다음에 보인다.

http://my.netian.com/~naneuri/
file://pacific.ssalab.samsung.co.kr/home1/muser/yhk
ftp://noc.sait.samsung.co.kr/pub/
gopher://nms.sait.samsung.co.kr/
telnet://pacific.ssalab.samsung.co.kr/
news:noc.sait.samsung.co.kr
news 의 경우는 지정하는 방법이 다른 것들과 다소 다른데, 이것은 지정하는 형식이므로 그대로 따르도록 한다. URL 지정에서 뉴스를 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한다.
☞ 이러한 뉴스를 보기 위해서는 UNIX 환경에서는 .cshrc화일에 setenv NNTPSERVER news.samsung .co.kr와 같이 뉴스 서버가 지정되어 있어야 한다.

☞ PC에서 사용하는 Mosaic과 Netscape의 경우 Preferences 메뉴 속에 이러한 뉴스 서버를 지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 Macintosh에서 사용하는 Netscape의 경우에도 Preferences 메뉴 속에 뉴스 서버를 지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국내에 있는 뉴스 서버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news[noc.sait].samsung.co.kr (157.197.11.15)
news[worak].kaist.ac.kr (143.248.1.200)
news[sun330].snu.ac.kr (147.46.80.5)
ccsun2.sogang.ac.kr (163.239.1.12)
news[xpat].postech.ac.kr (141.223.100.100)
jagalchi.cc.pusan.ac.kr (164.125.9.2)
openysu[exodus].yonsei.ac.kr (165.132.10.15)
cs.sejong.ac.kr (134.75.87.2)
usenet.hana.nm.kr (128.134.1.5) # Hangul Newsgroup Only
news.kotel.co.kr (147.6.1.3)
cad2.seodu.co.kr (202.30.52.2)
news.pnb.co.kr (202.30.39.33)
news[midas].medison.co.kr (203.254.171.2)
bam.inet.co.kr[news.nuri.net] (203.255.112.2)
star.dwt.co.kr (165.133.1.3)
news.kreonet.re.kr (134.75.30.2)
news.kigam.re.kr (134.75.144.204)
hpdol[news].kaeri.re.kr (147.43.42.45)
hphwr01.kaeri.re.kr (147.43.32.56)
nms[usenet/news].etri.re.kr (129.254.9.3)
URL에 관한 보다 상세한 자료는 다음에 있다.
http://www.w3.org/hypertext/WWW/Addressing/URL/Overview.html

2.6 WWW의 동작 과정

사용자가 hyperlink되어 있는 단어 하나를 선택했을 때,
  1. 링크되어 있는 단어의 URL에서 접속할 호스트의 Domain Name 주소를 읽어서 DNS (Domain Name Service)를 통해 IP 주소를 찾아내고, 또는 URL에 바로 지정되어 있는 IP 주소를 통해,
  2. URL에 지정되어 있는 접속 방법(프로토콜)에 따라 상대편 서버에 연결을 맺는다. HTTP 프로토콜인 경우, 지정된 호스트의 WWW 서버에 http 연결을 맺는다.
  3. http 프로토콜을 통해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URL에 지정되어 있는 장소의 문서를 요청.
  4. 서버는 해당 문서를 보내고 클라이언트는 수신한다.
  5. 클라이언트는 수신한 문서를 html 문서의 형식에 맞게 화면에 보여주는 가운데, 이 문서에 그림이 함께 포함되어 있을 때 클라이언트는 해당 그림 문서를 또 다시 서버에게 요청한다.
  6. NCSA의 Mosaic은 위의 과정을 통해 하나의 텍스트 문서를 가져와서 바로 보여주지 않고, 이에 앞서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사진과 같은 모든 그림 문서들을 지정되어 있는 URL에 따라 똑같은 과정을 통해 모두 가져오고 나서 한꺼번에 화면에 보여준다.
    이에 비해 Netscape는 텍스트 문서를 가져오는 즉시 화면에 보여주며 이런 과정에서 지정되어 있는 그림 문서들을 파악하여 동시에 또 다른 http 연결을 맺어 그림을 가져온다. 그래서 동시에 여러 개의 http 연결이 존재하여 자료를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해서 Netscape는 Mosaic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를 제공해준다.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처음으로], [홈으로]

Copyright(c) 1998 Chung, Jong-Tuk
Last updated : Jun 1, 1998


659

추천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