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13일 (월)
(백) 부활 제7주간 월요일 용기를 내어라. 내가 세상을 이겼다.

성지순례ㅣ여행후기

가고시마 성지 순례

스크랩 인쇄

하태무 [cheonhabubu] 쪽지 캡슐

2008-12-28 ㅣ No.544

일본 성지 순례 5    추천 1    스크랩 0
 
http://blog.chosun.com/cheonhabubu/3559088
 
 

                           흥안3[14].jpg

 

나의 하느님, 나의 주님!

주님! 마지막까지, 오로지 당신의 사랑, 당신의 방법으로

비록 천국이 없다 하더라도 당신을 사랑하도록 저를 이끌어주시고,

비록 지옥이 없다 하더라도 당신을 두려워하는 마음이 일도록 이끌어 주십시오.

제가 당신을 사랑하기에 당신께서 제게 사랑을 주셔야 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 제가 기다린다 하더라도 오지 않을 수 있고,

이처럼 당신께서 원하시는 것을 저는 사랑합니다.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의 기도 중에서-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흥안12[15].jpg


한자 이름이 방제각 사물(方劑各 沙勿)이라는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성인은

1506년 스페인 북부 나바라주에 위치한 하비에르 성의 성주의 막내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볼로냐 대학의 법학박사로 추밀원(樞密院) 의장을 역임하였고,

어머니는 그 지방의 귀족 출신이었다.

유복했던 집안은 하비에르가 6세 되던 해 아버지가 전쟁에 휘말리면서 몰락하게 되지만

자녀들의 교육을 등한시하지 않았던 부모님 덕분으로 파리 생트 파르브 대학에 유학하여

1530년에 철학박사 및 문학박사 학위를 받고 파리 대학 교수로 임명되어 철학을 강의한다.

그곳에서 이냐시오 로욜라를 만나,

사람이 온 세상을 얻을지라도 영혼을 잃는다면 무슨 이익이 있겠느냐는

 끈질긴 설득으로  영적 훈련을 받는다. 

 

                    흥안9[14].jpg

 

 1534년 8월 15일에 예수회의 초창기 회원인 이냐시오를 비롯하여

파브르, 라이네스, 살메온, 보바디야, 시몬 로드리게스 등과 함께

파리 근교에 있는 치명자의 언덕인 몽마르트르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위하여 평생 헌신할 것을 허원한다.

1537년에는 동료들과 함께 로마에 도착하여 6월 24일 사제 서품을 받았는데

동인도 제국을 식민지로 다스리던 포르투갈 왕 주앙3세는 교황에게

예수회 회원들을 인도에 파견해 달라고 요청한다.

1540년 교황 특사의 자격으로 하비에르 신부가 동양의 선교사로 선정된다.

1542년 동인도의 수도 고아에 도착한 하비에르는 사목 활동을 시작,

 7개월이 되었을  인도 남부 파라바스로 파견되어 헐벗은 이들과 함께 가난한 생활을 하면서

특히 어린아이, 젊은이, 하인들, 어부들에게 많은  관심을 보였다.

 

                    흥안11[12].jpg 

 

1546년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사제는 말라카에서 일본인 야지로를 만나 교리를 가르치고 

1549년 8월15일 야지로의 고향인 규슈 남쪽 가고시마에 도착하여, 

일본어를 배운 뒤 야지로와 함께 전교에 노력하였으며,

일본에서 대단한 성과를 거두게 되는데 그 이유 는 그곳의 영주들이 장차 있게 될

유럽과의 교역에서 상권을 얻고자 그를 환대한 것이다.

 

                   흥안10[14].jpg


1551년까지 약 2년 반 동안 일본에서 활동하며 하비에르는

야마구치를 비롯해 교토, 분고, 혼슈의 서부지역까지 진출한다.

그동안 일본인들이 그를 천축승(天竺僧-인도승려) 또는 천축의 성주로 이해하게 되자

그는 불교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교리를 가르치고,

서양의 문물을 소개하면서 영주와 무사들로부터 많은 환심을 얻는다.

 

                                        흥안13[14].jpg


하비에르 신부의 열성적인 선교 활동과 일본에 대한 각별한 사랑은

일본 천주교회의 정착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1551년 말 일본에서 입교한 베르나르도와 마태오와 함께 인도로 건너가게 되는데

베르나르도는 유럽 땅을 밟은 최초의 일본인이었다 한다.

그가 탄 배가 인도로 가던 중에 심한 풍랑을 만나 중국 광동 산첸 섬에 표착한다.

성인은 중국 내에 진출을 계획하고 노력하였지만 번번이 실패로 돌아갔고

점점 기력이 쇠진하여 정신을 잃고 고통 속에 지내다가 풍토병으로 1552년 12월 46세의 나이로 사망한다.

그의 시신은 임시로 산첸 섬에 묻혔다가 1553년 봄에 말라카로,

그 해 겨울에 인도의 고아로 옮겨져 안장된다.

1622년 교황 그레고리오 15세(1621~1623)에 의해 자신의 사부이자 동료인 이냐시오와 함께 시성되었고,

동방의 사도로, 가톨릭 선교활동의 수호성인으로 선포된다. 

 

                    흥안16[13].jpg 

가고시마 가는 길


가고시마 가는 길에 터널이 23개가 뚫려 있다.

신부님께서는 몇 번이나 시도해도 완벽하게 세지 못했다 한다.

이야기를 하다 말고 손가락으로 개수를 세면서 굴을 지난다. 23 개의 터널.

전 일본이 그렇듯 이 곳도 온천지역이라 지열 때문에 나무들이 굽어 자라는 지역도 있다.

그래서 새우라는 뜻의 ‘애비노‘ 라는 고개도 있다. 이 영마루에서 커피를 마시고

조금만 가면 바로 가고시마로 입성한다 한다.

 

                              흥안17[13].jpg

 

고속도로 양쪽 주변은 12월인데도 10월처럼, 바야흐로 만추에 접어들고 있다.

9월부터 한국의 성지에서 가을을 보아 온 것이 10월 11월 석달의 가을을 실컷 즐겼건만

12월에 다시 일본 땅에서 느끼는 가을. 무슨 복이랴 싶다.

10 시 50분 가고시마 입성이다.

 

                      흥안18[14].jpg

 

 가고시마는 녹아도라고 하는데 섬의 모양도 사슴이 아니고,

그곳에 사슴이 많은 것도 아니다.

7년 일본에서 유학한 성균관대학 이기동 교수의 말에 의하면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자연풍에 배를 맡기고 떠가면 저절로 닿은 곳이 가고시마라 한다.

나라를 신라에 내어주고 일본으로 유랑한 백제의 유민들이 화를 면해서 떠내려 간 곳,

가고시마.

일본 곳곳에 그렇게 흩어져 있던 우리민족들은 그렇게 가고시마에 가면

반가운 동족을 볼 수 있었다고 한다.

가고싶다. 가고싶다. 그리고 만났다 한다.

그렇게 일본으로 떠갔던 우리 민족들이 가고 싶어 하던 곳.

우리말의 다른 이름이라고 했다.

또 그곳에는 아직도 “왔소” 라는 이름의 축제가 남아 있다.

무엇을 뜻하는 말인지도 모르고 계속하는 그 축제의 이름 또한 떠 내려 온

우리의 유민을 환영하는 파티로 우리말 “왔소”가 그 유래라 한다.

그렇게 가고시마에는 고려교라는 다리도 있고 고려촌이라는 마을도 있고

우리 민족의 흔적이 많이 있는 곳이다.

그들은 이곳이 마치 꿈속에 많이 가 본 장소인 것 같이 생소하지 않다.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성당, 기념 공원

 

                 흥안15[11].jpg

 

성당 안은 환상적인 분위기다. 배와 같이 생긴 천정. 

바다를 상징하는 푸른 색깔과, 태양을 상징하는 붉은 빛이 조화를 이룬다.

둥근 모양이 연속으로 파인 스테인드 그라스는 매우 특징이 있어 보인다.

 

                흥안11[15].jpg

 

스페인 본국에서 가져온 파이프 오르간이 2층에서 단아하다. 소리를 들어보고 싶었지만

그건 시간이 맞지 않았다.

전문 안내 요원인 중년의 단정한 일본 여인이 매우 친절하게 안내를 한다.

 

         흥안14[14].jpg0흥안13[17].jpg0

 

성당 계단으로 오르는 길에는 성인이 처음 상륙할 때의 모습이 담긴 부조물과

성인이 스님과 독대하여 천주교 교리에 대하여 대화를 나누는 장면의 두 부조물이 인상적이다.

참, 하비에르 성인은 스님에게 사찰을 기증받아 일본인들 전교에 힘썼다 했지.

불교적인 용어로 일본인들을 설득시켰다 했지. 이름도 한자로 바꾸고...

 

                   흥안12[17].jpg

 

우리나라에 오신 프랑스 신부님들도 박해시대 조선 이름,

조선옷 상복으로 몸을 감추고 발이 부르트도록 팔도를 누비며 전교에 힘을 쓰셨지.

산 설고 물 선 이국 땅에서의 전교는 그야말로 열정과 용기 없이는 되지 않는 법.

그분 그렇게 일본에서 2년 넘게 애쓴 결과, 천주교를 일본에 정착시켰다.

성당 한 쪽에 안치된 그분의 유해 앞에서 기도를 한다.

 

              흥안9[16].jpg00흥안8[14].jpg

 

그 분이 가졌던 깊은 신심과 열정과 용기를 나누어 주시라는 기도를..

그리고 모든 순교자들을 우하여도 기도했다. 그들의 영혼이 하느님의 자비를 얻게 되기를....

그리고 이 땅과 우리의 관계가 독도 문제를 비롯하여 편안한 관계가 이루어지기를...

기념 스탬프를 찍고(일본은 곳곳에 기념 스탬프가 있다), 그곳 신부님과 기념사진을 찍었다.

안내를 맡은 여인은 이 신부님을 보고 이렇게 젊은 신부님을 뵌 적이 없다면서 너무나 즐거워한다.

그렇다 젊음, 그건 정말 귀하고도 복된 것이다.

 

                 흥안10[16].jpg

 

나이는 숫자에 불과 하다니.. 그 말은 늙은이들의 아우성일 뿐이다.

 물론 열정과 용기로 얼마간 버틸 수는 있다.

그러나 나이 들어간다는 것은 얼마나 자연스러운 일인가?

더러 지혜가 좀 더 나을 수도 있고, 현실에 대처하는 능력이 더 나을 수도 있는 것을...

그들이 푸르고 건강한 정신을 지녔을 때는 더더욱 그러하다.

 

                            흥안_6[12].jpg 

 

성당 입구에는 하비에르 성인의 임종 장면의 그림도 있었고,

며칠 전 188인이 복자품에 오른 기사를 스크랩 해 둔 것도 눈에 띈다.

 

                 흥안19[6].jpg

 

“목마른 사람은 다 내게로 오라”

요한복은 7:37 절의 말씀이 입구에 적혀 있다.

목마른 사람. 참, 늘 목이 자주 마른다.

그리움에 목마르고, 시간에 목마르고, 인정에 목마르다.

깊이 대해보지 않고 선입견으로 바라보는 사람들 때문에 자주 목이 마르기도 한다.

자신을 알리기엔 너무나 궁색하고 자신도 없음을 자주 깨닫는다.

나이 들어간다는 것은 좀 더 인내심을 기른다는 것이다.

영혼의 목마름을 채우기 위해서 이번  순례자의 길을 택한 것은 백번 잘한 일이다.

다음날 아침 소성당에서 미사를 드리기로 하고 성당을 떠났다.

 

                 흥안21[6].jpg

 

스산한 가을바람이 기념 공원의 나뭇가지로 불어 낙엽이 우수수 떨어지고 있었다.

전교 여행을 떠나는 선각자들의 동상이 공원 한 귀퉁이를 꾸미고 있었다.

1549년, 8월 15일 이 땅에 처음 들어와 서양 문물을 가르쳤던 성인의 영혼이

가을 바람과 함께 훈풍처럼 가만히 다가옴을 느낀다.

“가서 복음을 전하여라.“

 

                    흥안20[6].jpg

 

                                                천하부부도장[21].jpg



2,521 2

추천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