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24일 (수)
(백) 부활 제4주간 수요일 나는 빛으로서 이 세상에 왔다.

따뜻한이야기 신앙생활과 영성생활에 도움이 되는 좋은 글을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노년의 아름다뭄을 위한 자세

스크랩 인쇄

유웅열 [ryuwy] 쪽지 캡슐

2019-06-13 ㅣ No.95378

 

노년의 아름다움을 위한 자세
흔히 우리의 인생은 자연의 사계절에 비유된다.  

 

1) 한참 성장하는 우리의 어린 시절이 

   대지에 생명의 움이 트는 봄이라면  


2) 청운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서 

   성취의 사다리를 오르는 성인초기는 여름이며,

3) 성취의 절정에서  

   혹은 실패의 늪에서 책임과 역할을 다하며, 

   자신의 삶을 재조명해보는 중년기는, 


   아마도 수확의 풍요로움과 추풍낙엽의 쓸쓸함이  

   공존하는 가을일 것이다.

4) 만물이 언 땅속에 묻히는 

   추운 겨울은 이제 자신의 인생을 정리해보고 

   그 삶을 좀 더 의미 있는 것으로 만들기 위해  마지막 

   노력을 하는 노년기에 해당될 것이다.

1.  그런데 만약에 누군가가 

    “인생의 사계절 중에서 겨울인 노년기를 좋아하십니까?” 하고 

    묻는다면 당신은 무엇이라고 대답할 것인가? 

   흔히 우리는 노년기란 

   외롭고 쓸쓸하고 별로 할 일이 없이 

   잔뜩 웅크리고 살아야하는 휴면의 계절로 생각한다. 

그 이유는 나이가 들면  

신체, 인지기능이 감퇴하여 젊음이 사라질 뿐 아니라, 

생산성을 상실하고 사회의 중심부에서 한 걸음 물러나기 

때문일 것이다. 

실제로 노년에는 

많은 사람들이 건강악화, 은퇴로 인한 

수입 감소와 역할상실, 배우자나 친지들의 죽음을 

겪으면서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자신감과 사기가 

떨어지고 외로움과 소외감 속에서 살아간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일생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고  평온함 속에서 

마지막 삶을 여유롭게 보내시는 분들을 우리는 

주위에서 가끔 본다.
 
마치 추운 겨울 언 땅속에 

봄에 싹틀 생명이 잉태되어 있듯이,  


이들은 후손을 위해 

지혜와 관용과 사랑을 베풀면서 

기품과 고상함을 지니고 있다. 


이런 분들은 우리에게 

“노인은 지혜의 원천이며 고상함 그 자체”라는 

말을 실감케 해 준다. 

2. 어떻게 하면 이 마지막 인생의 계절을 

   생명력 있는 아름다운 겨울로 보낼 수 있을까? 

   노화과정이란 어떤 것인가? 

그것은 생물학적 기능의 감퇴와 

죽음의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아니다. 


심리적으로 볼 때, 

노화과정이란 퇴화와 성숙을 함께 내포하고 있는 

자기조절 과정이다.

저명한 노년학자 ‘발테스(P. Baltes)’는  

노화과정의 속도나 질은 사람마다 다양하며, 

인간발달의 가소성(可塑性:외력에 의해 형태가 변한 

물체가 외력이 없어져도  원래의 형태로 돌아오지 않는 

물질의 성질)은 마지막까지 지속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는 성공적 노화의 지표로  

장수, 신체, 정신건강, 생성 감, 개인적 통제력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무엇보다 노년의 주관적 안녕감이나  

삶의 만족도와 가장 상관이 있는 것은 적응력, 혹은 행동의 

유연성이라고 말한다. 

이는 비록 노년에는 많은 내적, 외적인 

변화들이 우리의 안녕 감을 위협하고 삶의질을 

떨어뜨린다고 할지라도, 

우리가 그러한 경험들을 

어떻게 수용하고 유연하게 대처하는가에 따라 

노년의 행복감과 삶의 질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즉 노화과정에서 오는 변화를  

어떻게 자신의 정체감 안에 통합시키며, 


자신의 심리적인 욕구와 환경의 요구를 

어떻게 잘 조절 하느냐에 따라 노년은 퇴락의 계절일 수도, 

풍요의 계절일 수도 있다.

3.그러면 노년을 살아가는 모습들은 어떠한가? 

어떤 사람들은 등산, 낚시, 골프 등 

여가와 취미생활을 즐기며 여유 있게 살아간다. 


또한 친목회, 동창회 모임,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찾아다니며 분주하게 보내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심리적으로 잔뜩 위축되어 있거나 

질병과 외로움으로 고통스럽게 살아가는 사람들도 있다.
 
이처럼 노년을 살아가는 다양한 모습들은 

개인의 경제적 형편이나 건강상태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음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골프를 치고 

고급 사교모임을 즐긴다고 해서 모두가 행복한 것은 아니다.

“삶은 비울수록 꽉 찬다.”는 말이 있듯이,  

마음의 평화와 행복감은 객관적인 성패보다는 

자신의 마음가짐에 달려 있다. 

무엇보다 노년의 성공적인 삶이란  

개인이 자신의 삶을 어떻게 정리하고 수용하며, 

자신이 처한 상황에 맞추어 남은 생을 어떻게 설계하는가에 

달려 있다.

저명한 심리학자 ‘융(C. Jung)’은 

“우리는 노년에도  분명한 삶의 의미나 목표가 있어야한다.”고 말했다.
 
그렇다. 

머지않아 평균수명 85세를 바라보게 되었는데  

장장 25년이라는 세월을 아무런 삶의 목표나 설계도 없이  

무작정 보낸다는 것은 매우 무모하고 어리석은 일일 것이다.

또한 우리가 삶의 의미와 가치를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노년의 삶의 질은 달라질 것이다. 


노년에는 어디에다 삶의 의미와 목표를 두어야 할까? 
많은 사람들이 젊은 시절에는 사회적 지위와 명성, 돈, 명예, 

권력을 추구하며 정신없이 신분상승의 가도를 달려온다.

그러나 노년이 되면 이 모든 것이 평준화된다는 말이 있다.  

이제 삶 속에서 이런 것들이 갖는 의미는 그렇게 중요하지가 

않아진다. 


우리는 보다  신선한 가치를 추구하고 

삶에 대한 새로운 안목을 가질 필요가 있다. 

어떤 사람은 말년까지  

창조적 업적을 남기기위해서, 


혹자는  자식의 성취를 

위해서 마지막 혼신의 힘을 기울이기도 한다. 

그러나 “후손에게 조금이라고  

더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들어 물려주기 위해, 

한 사람의 인생이라도  좀 더 행복해지도록하기 위해, 


”남은 삶을 헌신하려는 것도 

가치 있는 노년의 삶의 목표일 것이다. 

4. 그러면 “제 3의 인생설계”는 어떻게 해야 할까? 

아마도 자녀들이 출가하고 빈 둥우리가 되면, 

우선 “누구와 어디에서, 어떤 생활규모로 살 것인지?”를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집을 늘려 자녀들과 함께 살까? 

조그만 아파트에서 부부만 조용히 살까?  

아니면 친근한 사람들과 함께 전원생활을 해볼까? 

아마도 이러한 실질적인 생활설계는 

저축, 연금 등 개인의 경제적 자산에 맞추어 

계획되어야 할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무엇을 하면서 살 것인가?”이다.

검약한 농촌생활을 즐긴  

사회개혁가  ‘니어링(S. Nearing)’은 몸소 실행한 

노년의 하루를 이렇게  소개하고 있다. 


“생계를 위한 노동 4시간, 지적활동을 위한 4시간,
좋은 사람들과 친교하며 보내는 4시간이면 완벽한 

하루가 된다.” 


그의 노년의 삶은 

일, 교육, 여가가 균형을 이룬 조화로운 삶이었다. 

우리는 20대까지 

삶의 대부분을 교육받는데 보내며, 

30대 이후에는 많은 시간을 일하는데 할애해 온다. 

그래서 노년에는  

주로 여가나 취미활동을 즐기며  

시간을 보내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은퇴 후의 20~30년이란 

세월은  여가로만 보내기에는 너무나 긴 기간이다. 

가장 조화로운 삶이란  

인생의 어느 시점에서나 교육, 일, 여가 

사이의 균형이 이루어진 삶이다. 


노년에도 원하면 일을 할 수있고, 

교육을 통해 자아를 성장시키며, 멋있게 여가도 

즐길 수 있을 때, 아름다운 노년이 될 것이다.

모름지기 항상 여행을 떠날 준비는 

미리 하는 것이 나은 것처럼  제3의 인생여행 역시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다.  


이제 동창회, 친목회에도 적극 참여하여  

이해관계가 없는 허심탄회한 마음으로 친구들을 

사귀어보자.
 
그리고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취미활동을 살리고 여가생활을 알차게 할 수 있는 

준비를 해보자. 


또한  자신의 독립성을 

유지해 줄 수 있는  조그만 일거리도 찾아보자.

물론 노년에도 왕성하게 

창조성과 생산성을 발휘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인생 후반에는 

이전의 사회적 지위나 보수를 기대하는 것은 

가능하지도 바람직하지도 않다. 

이제 이런 욕망에서 벗어나서,  

최소한도 자식이나 가족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일이면 

만족하자. 

그러나 다행히도 노년을 살기 위한 

최소한도의 경제적 비축이 되어 있다면, 


무슨 일이든지 자신의 생활에 

활력과 생기를 불어넣어 줄 수 있고 

적절한 활동수준을 유지해준다면 그것은 충분히 

좋은 일이다. 

그리고 만약에 

이 인생의 마지막 계절을 사회를위해 봉사하고  

사랑을 베풀면서 불행하고 없는 자들과 나눔의 체험을 

하면서 보낸다면,
 
아마도 더할 나위 없이 보람 있고 

아름다운 인생의 겨울이 될 것이다!!


연세대 인간행동연구소 심리학 박사 김애순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1,573 2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